•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스토옙스키의 후기 장편에 나타난 새로운 신분의 모색 : ‘뛰어난 사람들(лучшие люди)’개념을 중심으로 (The Quest of a New Social Status in Dostoevsky’s Late Novels : The Concept of ‘Best Peopl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2.06
40P 미리보기
도스토옙스키의 후기 장편에 나타난 새로운 신분의 모색 : ‘뛰어난 사람들(лучшие люди)’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34권 / 2호 / 101 ~ 140페이지
    · 저자명 : 신봉주

    초록

    이 글은 도스토옙스키의 후기 장편에 나타난 새로운 신분의 모색을 농노해방 이후 러시아 귀족의 거취를 둘러싼 당대 논쟁과 연관 지어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도스토옙스키 소설의 귀족들은 사회적 전형으로서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농노해방과 더불어 견고한 신분질서가 해체되어가는 상황에서 도스토옙스키는 『작가일기』와 창작을 통해 꾸준히 자신만의 귀족담론을 구축하였다. 『작가일기』에서 도스토옙스키는 러시아 신분사회의 변천을 ‘뛰어난 사람들’의 일대기로 재구성한다. 신분제 이전부터 민중의 자발적 존경을 받았던 ‘뛰어난 사람들’을 도스토옙스키는 특권을 통해 유지되었던 귀족과 구분한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모호한 자연적 부류의 ‘뛰어난 사람들’은 그의 후기 장편 속 마지막 귀족의 형상으로 구체화되었다. 『백치』의 미시킨, 『악령』의 스타브로긴, 『미성년』의 베르실로프는 모두 ‘뛰어난 사람들’의 합으로 존재했던 고귀한 신분의 기억과 흔적을 간직한 마지막 귀족들이자 미정성의 운명을 지닌 ‘러시아-유럽인’이다. 고귀한 신분을 회복하려는 그들의 노력은 민주주의 시도와 더불어 실패로 귀결되나 새로운 신분질서에 길을 열어준다. 『미성년』에서 마지막 귀족 이후의 세대로 등장하는 아르카디의 여정은 경제적 자유와 시민의 의무를 조화시킬 ‘뛰어난 사람들’의 사회가 교육으로 이룩될 것임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aces the quest of a new social status in Dostoevsky’s late novel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dispute concerning the position of nobility after the emancipation reform in Russia. It has been wildly accepted that Dostoevsky’s noble characters were not realistic as a social type. However, faced with the dismantling of the stable status order, Dostoevsky steadily presented his own nobility discourse in both Writer’s Diary and Works. In Writer’s Diary, Dostoevsky rewrites a history of Russian social status in terms of the ‘best people’s chronology. He distinguishes the ‘best people’ whom a whole society voluntarily have come to respect with those who were officially recognized noblemen. Whereas the first category of the ‘best people’ is hard to identify historically, in his novels, Dostoevsky tried to represent them as the last aristocrat. In Myshkin of Idiot, Stavrogin of The Possessed, and Versilov of The Adolescent, all are the last aristocrat who has a memory and legacy of the honorable class and at the same time are Russian European who has the fate of uncertainty. Even though their endeavor to resuscitate the honorable class by attempting to be a democrat has failed, it opens the door for a new status order. In The Adolescent, Dostoevsky has portrayed the post generation of the last aristocrat in his hero, Arkadii. Arkadii’s journey implies that the society of the ‘best people’ who will reconcile economic freedom and citizen’s duty, would not be achieved without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