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콘텐츠로서 문학관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제언- 작가 박경리와 작품 『토지』가 기념되는 방식을 중심으로 (A proposal about the storytelling of literary house as a cultural content - Based on the way to celebrate the writer Park Kyung-ri and her novel ‘Toj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문화콘텐츠로서 문학관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제언- 작가 박경리와 작품 『토지』가 기념되는 방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38권 / 271 ~ 300페이지
    · 저자명 : 김예니

    초록

    의례적인 기념을 넘어 진정 문인과 그의 업적을 기념하려면 특정 문인에 대한 우상화 작업을 멈추고 로컬리티만을 강조하던 과거의 스토리텔링으로부터 한 발 더 나갈 필요가 있다. 이는 지금 현재 건설된 문학관들의 공간스토리텔링이 좀 더 문학을 중심으로 새롭게 논의될 필요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의를 위해 한 작가, 한 작품이 여러 곳에서 기념되고 있는 박경리와 소설『토지』의 문학관 스토리텔링을 분석하도록 하겠다.
    원주의 박경리문학공원의 ‘문학의 집’은 소설『토지』의 스토리텔링을 기획함에 있어 선별과 압축, 그리고 비유적 이미지화를 통해 긴 장편 소설을 효과적으로 이용자에게 전달하고 전시 스토리텔링 특유의 미적 체험을 제공하는데 성공적인 성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작가의 생애나 유품들을 전시하는 공간의 스토리텔링을 보면 많은 자료를 나열하여 보여주는 것에 멈추고 있어 이용자들이 이 자료를 통해 작가와 작품에 대한 흥미를 자극받기 어렵다.
    하동의 박경리 문학관 역시 다양한 자료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동만이 가지고 있는 의미있는 자료들도 다수 가지고 있지만 이를 통시적으로 당대 역사적 상황, 조건과 함께 설명하지 못하면서 많은 자료의 보관과 전시에 머문 점이 아쉽다. 하동의 경우, 박물관을 둘러싼 환경, 특히 드라마<토지>의 촬영지를 품고 있고 실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전경을 가지고 있어 문학관 외적 환경이 보여주는 공간 스토리텔링의 장점을 더욱 적극적으로 잘 살릴 필요가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통영의 박경리 기념관의 경우, 어느 문학관보다 ‘통영’이라는 주제를 부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문학관으로서 다른 문학관과의 차별점은 박경리의 대표작인 『토지』외에 다른 작품들에 대한 소개와 전시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소설『김약국의 딸들』에 대한 비중이 높은데 이는 ‘통영’이라는 장소성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드러나면서 전체적인 전시 스토리텔링의 집중력이 흐트러진 결과를 낳았다. 오히려 테마를 ‘작가와 통영’과 같은 주제로 설정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공간 스토리텔링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을 기념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작가와 작품에 대한 무엇을 이용자들에게 전달하려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다름 아니며 기획자는 이에 대한 대답을 중심으로 이 대답을 어떻게 이용자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전문적 소양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큐레이터가 필요하고, ‘테마’가 있어야 하고 상설전시와 기획전시가 나뉘는 방식으로 보다 유연하게 공간스토리텔링을 기획할 수 있어야 한다.

    영어초록

    For real celebrating the writer and achievements beyond perfunctory commemoration, it is necessary to stop idolizing certain writers and take a step further from the storytelling of the past, which only emphasized locality. That is why the spatial storytelling of existed literary houses needs to be discussed, focusing on the literature. Because of that reason, I analyze Park Kyung-ri and her novel ‘Toji’ literary house storytelling that is being celebrated in several places.
    ‘The House of Literature’ in Wonju’s Park Kyung-ri Literature Park shows successful achievements effectively in delivering a long novel to users by figurative visualization, selections, and summariza- tion in planning the storytelling of the novel ‘Toji,’ and providing unique esthetics experience of exhibition storytelling.
    However,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stimulate interest in the writer and her works because the spatial storytelling to exhibit the writer’s life and keepsake ends up listing materials.
    Park Kyung-ri Literature House in Hadong has a variety and meaningful materials that only Hadong can have. However, it also has a problem to limit its effects because it has not explained the meaningful materials in general along with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the time. In the case of Hadong, it has the best condition for the spatial storytelling shown by the literature house’s external environment due to having the actual background of the novel ‘Toji,’ and the filming location of the drama ‘Toji.’ Lastly, in the case of Tongyeong’s Park Kyung-ri Memorial Hall, the difference from other literary houses is to introduce and exhibit Park Kyung-ri’s other works, including her representative work ‘Toji,’ because of aiming to highlight Tongyeong rather than other literary hous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Daughters of Kim Yak-guk” becomes increasing for emphasizing the spatial storytelling of Tongyeong, and it causes the overall exhibition storytelling has become protruding and awkward. In my opinion, if the theme is limited to writers and Tongyeong, it could show a more effective spatial storytelling.
    What the literary house celebrates is the same as what it tells users about the writer and works. The planner should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f delivering the responses to users by focusing on the answers to those questions. That is why it needs a curator, has to have the theme, and directs the spatial storytelling flexibly by dividing permanent exhibition and special exhib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