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전반 조선 관요 유적의 운영시기 재검토-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A Reexamination of Operation Period in Royal kiln of the Joseon Dynasty Archaeological Sites From the 17th to the Early 18th Century: Focusing on the Excavated Objects from Kiln Site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2.01
41P 미리보기
17~18세기 전반 조선 관요 유적의 운영시기 재검토-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101호 / 191 ~ 231페이지
    · 저자명 : 김경중

    초록

    17세기에 운영된 관요는 굽 안 바닥에 음각된 干支를 통해 관요의 위치와 운영시기, 이설경로 등이 규명되고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부터 1618년 사이에 운영된 정지리와 탄벌동, 학동리 관요는 지표에서 수습된 명문백자를 토대로 1598~1605년, 1606~1612년, 1613~1618년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1677년 이후부터 1751년까지 운영된 관요는 『承政院日記』에 이설기사가 있는 오향리 관요만 운영시기가 1717~1720년으로 명확하고, 궁평리, 관음리, 금사리 관요는 지표에서 수습된 백자의 형태 및 굽 형태, 번조방법 등을 바탕으로 대략적인 운영시기를 설정하여 연구자마다 견해 차이가 있다. 이에 새롭게 확인된 분원의 이설기사 및 명문백자와 기존에 알려진 명문백자의 비교를 통해 관요의 운영시기를 재검토하였다.
    먼저 정지리 관요는 3호 가마터에서 ‘壬右’(1602)명이 발견되고, 1604~1605년에 성의 정비를 위해 백자 제작을 금지하는 기사가 『承政院日記』에 있어 운영시기는 1595년경부터 1603년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리고 탄벌동과 학동리 관요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학동리 10호 수습 ‘戊申’(1608)명 백자가 ‘戊午’(1618)명으로 밝혀지고, 경기도자박물관에 학동리 9호에서 수습된 ‘庚十十二’(1610)명 백자가 새롭게 발견되어 탄벌동의 운영시기는 1606~1610년 봄까지, 학동리의 운영시기는 1610년 가을~1618년 봄으로 명확해졌다. 따라서 상림리 관요는 1618년 가을부터 1636년까지 운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궁평리 관요는 2호 가마터에서 ‘甲子’(1684)명과 ‘壬午’(1702)명이 음각된 명문백자가 출토되어 운영시기를 1684~1702년경으로 특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이에 따라 지월리 관요는 1677년부터 1683년까지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금사리 관요의 운영시기는 영조 10년(1734)에 ‘퇴촌면 금사곡’으로 관요를 이설했다는 기사가 『承政院日記』에서 새롭게 확인되어 1734~1751년으로 명확해졌다. 그리고 관음리 관요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 중에 관음리 17호에서 지표수습된 ‘元右(左)□□’명 백자와 18~19호·35호에서 지표수습된 ‘另工’·‘另口’명 백자를 통해 알 수 있다. 백자의 굽 안 바닥에 ‘右’ 앞에 관리책임자를 의미하는 ‘元’명이 음각된 경우는 궁평리 2호에서 수습된 ‘己七元右’명 백자 등을 제외하고, 그 이전에 운영된 관요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관음리 18~19호·35호는 ‘元右(左)명 뿐만 아니라 ‘左’·‘右’명이 음각된 명문백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명문의 변화 양상으로 볼 때 궁평리 2호 일원에서 1703년 이후에 땔나무를 찾아 관음리 17호 일원으로 관요를 옮겨 1716년까지 백자를 제작하고, 다시 땔나무를 찾아 오향리 일원(1717~1720) → 관음리 19호 일원(1721~1733년) → 금사리 일원(1734~1751년) → 분원리 일원(1752년 이후)으로 관요를 옮긴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Royal kilns, which were operated in the 17th century, are being investigated the location, the operation period, and the relocation route of royal kilns through the sexagenarian cycle(干支), which was engraved on the bottom of the royal vessel. The royal kilns in Jeongji-ri, Tanbeol-dong and Hakdong-ri, which had been operated between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year in 1618, were presumed to correspond to the years in 1598~1605, to the years in 1606~1612, and to the years in 1613~1618 based on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which were recovered from the ground surface.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royal kilns that had been operated from after the year in 1677 to the year in 1751, only the royal kilns in Ohyang-ri that have the report of relocation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 Diary of the royal secretariat)』have the definite operation period with the years in 1717~1720. Gungpyeong-ri, Gwaneum-ri and Geumsa-ri royal kilns were established the approximate operation period based on a form, a foot shape, and a firing method in white porcelains that were acquired from the ground surface. Thus, every researcher has a different opinion. The operation period in royal kilns was reconsidered through comparing the relocation reports and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in Bunwon(分院), which were newly identified to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which were previously known.
    First of all, the royal kilns in Jeongji-ri were discovered the name of ‘Im-u(壬右)’(1602) in No. 3 kiln site. There is a story of prohibiting the white porcelain production to renovate the castle between 1604~1605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 Thus, the operation period came to be clear from around 1595 to 1603. Furthermore as for the royal kilns in Tanbeol-dong and Hakdong-ri,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named ‘Mu-shin(戊申),’(1608) which were recovered from Hakdong-ri No. 10 of being kept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urned out to have the name of ‘Mu-o(戊午)’(1618).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named ‘Gyeong-sip-sip-e(庚十十二)’(1610), which were acquired from Hakdong-ri No. 9 in Gyeonggi Ceramic Museum, were newly found.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dates came to be specified Tanbeol-dong between 1606 and the spring of 1610 and Hakdong-ri between the autumn of 1610 and the spring of 1618. Accordingly, the royal kilns in Sangrim-ri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operated from the fall of 1618 to the year in 1636.
    Moreover, the royal kilns in Gungpyeong-ri were excavated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which were engraved with the name of ‘Gap-ja(甲子)’(1684) and the name of ‘Im-o(壬午)’(1702), from No. 2 kiln site, thereby having been arranged the basis available for specifying the operation period from 1684 to following 1702. Hence, the royal kilns in Jiwol-ri can be seen to have been operated from 1677 to 1683.
    Finally, the operation period in Geumsa-ri royal kilns came to be obviously between 1734~1751 because the report as saying of having moved the royal kilns to ‘Geumsagok in Toechon-myeon’ during the 10th year of King Yeongjo(1734) was newly identified in『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 In addition, the royal kilns in Gwaneum-ri can be known through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named ‘Won-u(元右)(Jwa(左, left))□□’ that were picked up on the ground surface in Gwaneum-ri No. 17 among relics of having been posses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rough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named ‘Ryeong-gong(另工)’·‘Ryeong-gu(另口)’ that were acquired from No. 18~19·No. 35. A case of having been engraved the name of ‘Won(元),’ which means a chief manager in front of ‘U(右, right)’ on the bottom of the white porcelain's foot, was not found in royal kilns that had been operated before then excluding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named ‘Gi-chil-won-u(己七元右)’ that were recovered in Gungpyeong-ri No. 2. And Gwaneum-ri No. 18∼19·No. 35 were not discovered the white porcelains with inscriptions that were engraved not only with the name of ‘Won-u(元右)(Jwa(左))’ but also with the name of ‘Jwa(左)’·‘U(右, right).’ Therefore, the aspect of a change in these inscriptions can lead to knowing that the white porcelains were manufactured until the year of 1716 by moving the royal kilns from the whole area in Gungpyeong-ri No. 2 to the whole place in Gwaneum-ri No. 17 with searching for firewood after the year in 1703 and that the royal kilns were moved again to the whole region of Ohyang-ri(1717~1720) → the whole area of Gwaneum-ri No. 19(years of 1721~1733) → the whole place of Geumsa-ri(years of 1734~1751) → the whole district of Bunwon-ri(after 1752) with finding brushw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