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북량탑과 북위 조상비에 나타난 중국불교전개와 전통신앙과의 융합 (The blending of Traditional Beliefs and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China-with the pagodas of Bei Liang and the steles of Bei Wei)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6.03
20P 미리보기
중국 북량탑과 북위 조상비에 나타난 중국불교전개와 전통신앙과의 융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4호 / 197 ~ 216페이지
    · 저자명 : 한지연

    초록

    중국은 고대부터 존재했던 전통사상과 전통 민간신앙 등이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천(天)’의 개념과 위정자(爲政者)의 정통성을 결합시켰기 때문에 정교일치(政敎一致)의 관념이 인도와는 다른 사회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에인도의 불교가 전파되었기 때문에 사상적 전환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불교의사상적 전환뿐만 아니라 중국 기존의 전통사상 역시 사상이나 수행 등의 측면에서 전환이 일어나기는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전환의 과정과 배경 등에 관해 본고에서는 양주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북량탑(北涼塔)과 북위 건국 초기에 형성된 북위 조상비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북량(北涼)의 불교문화 중에서도 특히 10여 기가 넘는 북량탑은 모두 통일성과 당시시대상황 및 지역사, 불교 신앙사를 알려주는 여러 정황들이 담겨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당시 중국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불교와 전통사상과의 충돌 문제가 심화되는 배경속에서 조성된 것이 북량탑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점을 불교와 전통사상과의 융합및 조화로 형성된 중국 최초의 불교문화라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도교와의 융합을 표현하였으며, 더불어 개인 신앙활동의 대상으로 자리잡으면서 이후 중국에서 형성되는 발원문의 기본 형식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주었다. 또한 북량탑 발원문 가운데 등장하는‘청신사(淸信士)’, ‘도사(道士)’ 등의 용어 역시 당시의 역경언어 및 신앙사에서 조명할수 있는 불교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게 한다.
    양주 지역에서의 도불융합형태를 북량탑에서 찾아볼 수 있다면, 북위의 건국과 더불어 양주인의 평성 이주, 연이어 일어났던 폐불 등 일련의 사건으로 변화된 불교 및 도불융합의 양상은 북위 조상비를 통해 볼 수 있다. 북위 도사 구겸지에 의한 도교의 의궤가정비되는 과정에 불교가 상당부분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이 조상비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천존상을 조성하는 데에 당시까지 조성되었던 불상의 전형적인 형식이 차용되고 있다. 또한 북위 조상비의 발원문 역시 북량탑 발원문의 형식을 그대로 원용하고 있어 북량불교의 외형적인 부분이 다수 북위의 신앙체계에 흡수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Before Buddhism spread into China, traditional thoughts and folk beliefs had been all over the China society. Especially for the unity of belief and state, the administrator had been regarded as “Tian” of God.
    When new religion from India which had different social system, not only Buddhism itself but also China's social system had reached a new aspect for changes to accept each other.
    The cultural transition found on the steles of carved statues made in Bei Wei period and the pagodas built in Bei Liang period is mainly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pagodas built in Bei Liang period are awfully valuable for their unity and the unique features showing the regional and religious histories and the social aspects at that time.
    When they were built, the troubles between folk beliefs of China and Buddhism had been deepened. The pagodas show fusion of Buddhism and Taoism as the attempt to solve those conflicts and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Buddhist culture in China.
    Later the prayers on the pagodas have also become the origin of the offering prayers to god in China.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vocabularies used in translated sutras through the words on the pagodas such as Tingsinshi and Taoist(Taoshi).
    Likewise, the steles with carved statues of Bei Wei shows mutual changes of the two ideas of Buddhism and Taoism. The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movement of Yangzhou people to Pingcheng and the Buddhist persecutions had effected the steles.
    They also show that Buddhism had affected Kou Qianzhi, the Taoshi of Bei Wei on his work of arranging Taoism tantras in many ways. The style of Buddhist statues had been applied to Tain Zun statues. The prayers on the steles of Bei Wei had quoted the ones of the pagodas of Bei Liang. It means that Bei Liang's Buddhism affected Bei Wei's one in some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