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성적 탐구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가능성과 과제: 교수론적 접근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as a Reflective Inquiry: Pedagogical Approach)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04
22P 미리보기
반성적 탐구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가능성과 과제: 교수론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8호 / 601 ~ 622페이지
    · 저자명 : 이태성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탐구의 관점에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교수론적 의미를 밝히고, 새로운 탐구 논리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반성적 탐구 전통과 쟁점 중심 사회과 담론을 교차 검토하면서 교수론적 차원에서 내적 일관성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반성적 탐구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 담론의 교수론적 특징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동시에 쟁점 중심 사회과에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며 새로운 담론화를 시도한다.
    방법 Dewey의 이론을 고찰하여 반성적 탐구의 본질적 의미를 미시적, 거시적 차원으로 도출한다. 쟁점 중심 사회과 논의 중 Hunt 와 Metcalf, Oliver와 Shaver의 논의를 음미하고, 교수론적 차원에서 그 특징을 각각 드러낸다. 앞에서 도출한 반성적 탐구의 분석틀에 터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와 반성적 탐구의 교수론적 일관성을 검토한다. 검토 결과를 종합하고, 한국적 맥락을 참조하여 쟁점중심 사회과의 새로운 과제를 제안한다.
    결과 우선, 반성적 탐구의 의미 갈래는 두 차원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사고하는 방법으로서 의미인데, 이는 가치 딜레마에 대한 과학적 탐구를 지향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른 하나는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의 의미인데, 이는 민주주의 삶의 문제 해결을 뜻한다. 다음으로, 대표적인 쟁점 중심 사회과의 교수론으로서 Hunt와 Metcalf는 닫힌 영역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하고, Oliver와 Shaver 는 법리적 유추를 통한 입장의 정교화를 강조하는 점에서 차별적인 특징이 있다. 이들의 논의를 종합하면, 쟁점 중심 사회과는 과학적 탐구를 지향한다는 것과 탐구를 통한 민주주의 실현을 염원한다는 점에서 Dewey의 반성적 탐구와의 교수론적 일관성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맥락을 고찰하면서 쟁점 중심 사회과에 새로운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쟁점 이면에 있는 가치 체계의 이중적구조를 분석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으며, 쟁점의 다차원적인 순환 과정을 동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있다.
    결론 쟁점 중심 사회과 담론은 Dewey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교수론적 차원에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탐구 논리와 Dewey의 반성적 탐구와의 교수론적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사회적 토대 앞에서 반성적 탐구와 쟁점 중심 사회과 모두 새로운도전에 직면해 있다. 쟁점 중심 사회과에는 가치 딜레마를 둘러싼 이성과 감정을 조화롭게 다루는 법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edagogical meaning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flective inquiry and to propose a new inquiry logic. To this end, the tradition of reflective inquiry and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are cross-examined, and internal consistency is examined from the pedagogical level. In this process, as a reflective inquiry,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are confirmed, and at the same time, it attempts to create a new discourse by suggesting future tasks to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Methods By examining Dewey's theory, the essential meaning of reflective inquiry is derived in micro and macro dimensions. Among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Hunt and Metcalf, Oliver and Shaver's ideas are examin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in the pedagogical context. Based on the framework of reflective inquiry derived above, the consistency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and reflective inquiry is reviewed.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combined, and a new task for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is proposed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context.
    Results First, the semantic branch of reflective inquiry appears in two dimensions. One is the meaning as a way of thinking, which i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of the value dilemma. The other is the meaning as a problem-solving method, which means solving the problems of democratic life. Next, as for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Hunt and Metcalf emphasize reflective thinking on the closed areas, and Oliver and Shaver emphasize the elaboration of position through jurisprudential analogy. Combining these discussions,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is consistent with Dewey's reflective inquiry in that it aims for scientific inquiry and desires to realize democracy through inquiry. Finally, considering the Korean context, a new task can be given to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ual structure of the value system behind the issues, and to find a way to view the multidimensional circulation process of the issues from a dynamic perspective.
    Conclusions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follows Dewey's tradition. In the pedagogical dimens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nsistency between the logic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and Dewey's reflective inquiry. However, both reflective inquiry and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face new challenges in a new social foundatio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still has the task of finding a way to deal with reason and emotion surrounding the value dilemma in har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