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가상화의 매끄러움이 지니는 탈-현실화에 대한 철학적 분석: 니체와 한병철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Analysis of De-realization with the Smoothness of Digital Virtualization: Focusing on Nietzsche and Han Byung-chu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1.06
28P 미리보기
디지털 가상화의 매끄러움이 지니는 탈-현실화에 대한 철학적 분석: 니체와 한병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0호 / 323 ~ 350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가상에 대한 욕망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현상이자 능력에 속한다. 시공간 현실의 지배를 받는 현존재(Dasein)로서 인간은 한편으로는 한 치도 물러설 수 없는 현실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탈-현실의 장으로서 꿈이나 상상 나아가 개념적 사유 등에 의한 초-현실계, 즉 가상세계에 노출되어 있다. 디지털 가상세계로의 이주,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이동 속도의 가속화와 이동 시간의 압축적 단축은 일상의 변형을 가속화하고 있다. 과연 디지털 가상세계가 현실과 변별되는 존재론적 특이성은 무엇이며 디지털 일상을 지배하는 패러다임의 정체는 무엇일까? 초가속화된 디지털 세계로의 폭주의 시기에 우리는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디지털 가상세계가 수반하는 역기능에 대한 병리적 현상에 대한 예방적 성찰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초연결 시대의 디지털 가상화를 ‘매끄러움(das Glatt)’이 지닌 탈-현실화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해볼 것이다. 2장에서는 디지털 인류의 새로운 현실로서 가상현실에서 노정된 인간과 현실의 언어화와 디지털 가상화에 있어서 전도 현상을 주영민의 『가상은 현실이다』와 니체의 『도덕의 계보』의 대칭적 분석을 통해 드러내볼 것이다. 3장에서는 현실과 가상의 역-전도화의 정체를 살펴보고, 4장에서는 매끄러움의 긍정미학에 대한 한병철의 비판서인 『아름다움의 구제』와 『땅의 예찬』과 더불어 니체의 『비극의 탄생』을 역전된 디지털 가상화의 특징으로서 망막세계가 지니는 동일화의 문제의 관점에서 접근해볼 것이다. 5장에서는 매끄러움의 미학이 수반하는 동질(일)화에 의한 부작용, 즉 탈-이질화 양상을 미에의 욕망과 고통에의 기피를 중심으로 성찰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디지털 가상 세계에서 현실의 삶에 대한 부정으로서 추함의 추방을 살펴볼 것이다. 이처럼 디지털 가상화와 매끄러움의 망막예술이 지닌 탈-현실성의 문제를 니체와 한병철의 시선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초연결 시대의 디지털 가상화가 수반할 수 있는 병리적 현상에 대한 예방적 담론을 위한 이론적 단초를 마련해본다.

    영어초록

    The desire for virtuality is among human's most fundamental phenomena and abilities. In an existence dominated by spatio-temporal reality, humans are exposed to reality on the one hand, whereas on the other hand it is a venue for de-realization, the super-real world, virtual world, dreams, imagination, and conceptual thinking. Migration to the digital virtual world, especially the acceleration of travel speed and the compressive reduction of travel time due to Covid-19, is accelerating the transformation of everyday life. What is the ontological singularity that distinguishes the digital virtual world from reality, and what is the identity of the paradigm that dominates the digital daily life? At a time of explosion into the super-accelerated digital world, we desperately need to reflect on the pathological phenomena of the adverse effects of the digital virtual world provided by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will analyze digital virtualization in the hyperconnected era focusing on de-realization of "smoothness." Chapter 2 will reveal the phenomenon of evangelism in the linguization and digital virtualization of humans and reality as a new reality for digital humanity through a symmetrical analysis of Joo Young-min's "Virtual is Reality" and Nietzsche's "The Lineage of Morals". In Chapter 3, we will look at the reality and virtual reverse-conversion, and in Chapter 4, Han Byung-chul's critiques of the positive aesthetics of smoothness, "The Relief of the Beautifulness" and "The Praise of the Earth," as well as Nietzsche's "Birth of Tragedy" as a reversed digital virtualization. In Chapter 5, we will reflect on the side effects of identification, i.e. de-deterioration, accompanied by the aesthetic of smoothness, focusing on the desire for beauty and avoidance of pain. Finally, Chapter 6 will look at the deportation of ugliness as a denial of real life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By analyzing the problem of de-realization of digital virtualization and the retina art of smoothness through the eyes of F. Nietzsche and Han Byung-chul, we will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eventive discourse on the pathological phenomena that digital virtualization can entail in the hyperconnected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