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World literature as Method -Focusing on the discourse of foreign/national literature and the recognition of Post-backwardness in the 1970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02
28P 미리보기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6권 / 1호 / 427 ~ 454페이지
    · 저자명 : 박연희

    초록

    이 글은 2021년에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격상되었다는 소식을 접하며 (탈)후진성에 대한 문학적 논의를 재론한 것이다. 한국에 대한 선진국의 지위 결정은 운크타드(UNTAD, 유엔무역개발회의) 회원국의 범주와 기준에 따른 결과인데, 이후부터 ‘제3세계’ 개념이 상용되고 (탈)후진국의 심상지리가 공고해졌다. 이러한 제3세계론의 붐 현상을 살피기 위해 지금까지 민족문학과 외국문학 담론의 지형과 성격을 살폈다. 이는 1960년대 이후 외국문학 전공자들의 한국문학 비평이 본격화되면서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와 외국문학자들이 한국문학의 탈후진성의 과제에 천착해 담론과 매체를 마련하는 과정과 중첩된다. 특히 학술장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된 민족문학-세계문학의 구도 및 시각은 비교문학이라는 분과 학문의 번성과 무관할 수 없는데, 1970년대에 이르러 김동욱 등의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들은 <한국비교문학회>(1959)을 통해 외국문학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계기를 만든다. 비교문학의 단위에서 국문학의 위상을 갱신하는 제도적 모색과 실천은 외국문학의 수용에 대한 콤플렉스가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한국 지성사에서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의 유비적 상상 및 담론은 제3세계적 시각에 의해 가능한 일이었다. 서구문학 중심에서 보면 전파와 수용의 수직적 관계에서만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지만, 제3세계적 시각에서 보면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은 수평적인 관계를 이룬다. 그런 까닭에 백낙청은 선진국의 문학을 잠재적인 제3세계 문학의 일부라고 설명한 후 민중적인 것이야말로 세계문학의 보편성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김우창에게 제3세계론에서 상정된 내재하는 보편성이란 하나의 미적 가상에 불과하다. 세계문학을 지향한 이들의 문학론과 그 쟁점은 한국문학의 후진성을 보편화의 가능성이자 방법으로서 지속되었다. 전체성으로 수렴되기 위한 노력과 구조적인 모순에 저항하는 제도적, 담론적 실천이란 탈후진성의 시각에서 작동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counts the literary discussion on the backwardness of Korea after hearing the news that Korea's international status has been upgraded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developed countries in 2021.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us of developed countries in Korea is the result of the categories and standards of UNTAD (UNTAD) member states, and since then, the concept of "third world" has been commercialized and the psychological geography of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solidified. In order to examine the boom phenomenon of the third world theory, the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discourse have been examined so far. This overlaps with the process of preparing discourses and media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after liberation as foreign literature majors began to criticize Korean literature in earnest since the 1960s.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and perspectiv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academic journal, cannot be irrelevant to the prosperity of the branch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70s, after liberation, first-generation Korean writers such as Kim Dong-wook created an opportunity to systematize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foreign literature research through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Society (1959). The institutional search and practice of renew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t of comparative literature was due to the judgment that the complex of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has been overcome to some extent.
    In the history of Korean intelligence, the sad imagination and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were possible by a third world perspective. From the center of Western literature,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can only be discussed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propagation and acceptance, but from a third world perspective, Korea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have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Baek Nak-cheong explained that literature in developed countries is part of potential third-world literature, and then stressed that what is popular is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However, for Kim Woo-chang, the inherent universality assumed in the third world theory is only an aesthetic imagination.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is understood as a totality that is not fixed than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itself. The literature theory of those who aimed for world literature and its issues persisted as a possibility and method of universalizing the backwardness of Korean literatur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fforts to converge into totality and institutional and discourse practices that resist structural contradictions were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backward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