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의 탈재현성 연구 - 들뢰즈의 감각론을 중심으로 - (Study of Non - representation of Francis Bacon Paintings - Centering on Gilles Deleuze's Sensationalism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6.12
14P 미리보기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의 탈재현성 연구 - 들뢰즈의 감각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7권 / 6호 / 41 ~ 54페이지
    · 저자명 : 권오상, 김규정

    초록

    본 논문은 20세기 중반에 나타나는 외부세계의 사실적 재현을 넘어서는 화가의 의식세계를 표상화 하기 시작한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에 나타난 탈재현성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세기 초반 후기 인상파 회화 시기까지 근대 회화는 무엇인가를 ‘재현’함으로써 존재하는 것이었다. 즉 ‘기표’는 화면 속에서 무엇인가를 지시하는 역할을 하고 하나의 ‘기의’를 지칭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입체파 미술 이후 회화에서 재현은 실험적으로 다양하게 분절되고 파편화되었다. 즉 존재론적 대상을 지칭하지 않고 작가의 의식이나 감각적 접근을 통한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파편화된 이미지를 표현한다.이를 탈재현 회화라 할 수 있는데, 탈재현 회화는 외부세계의 재현적 묘사를 포기하고 사물의 특성들이 작가의 감각적 논리를 통해 분절되고 재조합되는 과정에서 사물 자체의 미적 특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특성을 가지는 시각적 ‘사물’이 된다.이런 탈재현 회화의 특성을 알고자 들뢰즈의 ‘감각론’을 적용한 베이컨의 회화를 연구하였다. 들뢰즈는 베이컨의 회화를 통해 추상회화를 새롭게 이해한다. 베이컨의 형상은 구상적 형상이 아니라 대상의 재현을 벗어나 파편화된 본질적 시각 요소들로 재조합된 형식을 추출한다. 구상적 재현이나 순수한 형상도 아닌 형상은 신경계 위에 직접 작용하는 감각들의 표현이다. 감각이란 재현된 신체가 아니라, 감각을 느끼는 자로서 체험되어진 신체 속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회화가 추구해야할 것은 이러한 감각, 체험된 신체를 그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컨의 전략은 진부함과 추상의 늪에 빠진 현대회화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into the move from reproducing the exterior world into an exploration of the inner conscious of the painter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post-reproduc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painter Francis Bacon.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with the post-impressionists painting was primarily focused on reproduction of life. In short, the symbol was on the canvas with the meaning being the focal point of the work. However, from Cubism onward reproduction was experimented with and thus became fragmented and divided. Ontological approaches gave way to the artist’s conscious, to their emotional approaches for an uncertain, unstable fragmented imagery. We call this approach post-reproducibility, as in doing away with descriptive methods and relying on the artist’s emotional logic going beyond aesthetic characteristics for a for a broken, reconstruction of the actual object. To further the research Bacon’s work was applied to Delueze’s Sensationalist theory. Through Bacon’s work Delueze sought to understand abstract art in a new light. Bacon does not reproduce an object but goes beyond that notion to extract the reconstructed elements based on the fragmentation of the essential visual elements. Not a pure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but an emotive mode of expression. Here emotion is not the reproduced body but the body felt with nerve endings in an emotive response. Therefore, art should pursue such emotive pursuits. This strategy devised by Bacon should present new opportunities in contemporary art that is somewhat stagnant and overtly abstr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