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상품화·탈가족화 관점에서 본 한국 일가족양립정책, 1990~2014 : 출산휴가·육아휴직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Korea’s work-family balance policy during 1990 and 2014 from the perspective of defamiliarization, decommodifi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maternity leave, parental leave, and childcare polici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5.09
40P 미리보기
탈상품화·탈가족화 관점에서 본 한국 일가족양립정책, 1990~2014 : 출산휴가·육아휴직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31권 / 3호 / 179 ~ 218페이지
    · 저자명 : 전윤정

    초록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의 일・가족양립정책의 발달의 경로를 역사적 제도주의적인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대표적으로 출산휴가・육아휴직제도와 보육정책을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을 하여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일・가족양립정책은 1990년부터 2000년까지는 유명무실한 제도로 상품화・가족화 차원에 머물다가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1년에 본격적인 제도형성을 이루며(잠정적)경로이탈이 발생하였다. 여성정책에 진보적인 정부와 여성, 시민, 노동단체의 연대로 모성보호 정책이 도입되면서 출산휴가확대, 육아휴직제도 급여지급 등이현실화 되었고 제도적 실효성을 확보하면서 일・가족양립정책은 2001년을 기점으로탈상품화・탈가족화의 제도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특수한 역사적 시기에 따른 제도적유제가 남게 되는데, 휴가제도의 급여를 고용보험에서 지급하도록 하면서 수혜대상이 정규직 취업여성으로 한정되었다. 비정규직, 자영업자 등이 정책대상에서 누락되면서 보편적 체제로 형성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다음으로 두 번째 제도적 전환점은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9년이다. 변화의 요인은 정부의 보육 공공화의 축소, 민간중심 서비스 동원체계의 확대, 보육료 지원에서현금(바우처)지급방식의 도입, 가정양육수당을 도입하면서 나타났다. 이를 계기로 한국의 일・가족양립정책이 (재)가족화 방향으로 경로의존적으로 회귀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역사적 시기에 따른 변화로 보육정책은 암묵적 가족주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제도적 발달경로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휴가제도의 보편적인 개혁, 보육정책에서 공공성 강화, 국가중심의 서비스제도를 확충하는 다양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at looking into the developments of Korea’s work-family balance policy during the period of 1990 and 2014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showed that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emerged in full swing in 2001 making a deviation (temporary) from its path and then displayed a tendency of regression in 2009.
    In Korea, a work-family balance policy had been at a just nominal level from 1990 to 2000 in the state of commodification and familiarization. However after progressive President Kim Daejung was inaugurated in 2001,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started gaining momentum leading to a temporary the path departure. In a strong coalition with women’s rights organizations, civic groups, female groups, civil organizations, and labor organizations, the pro-women government embraced a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long with expanded usage of maternity leave and provision of paid parental leave. Driven by those advance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shifted its path from commodification to decommodification marking the year 2001 as threshold.
    However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was not able to join mainstream ones as the government designated the Employment Insurance as the financial provider of paid maternity or parental leave limiting eligibility of those benefits strictly to the employed women.
    Second institutional shift had arisen in 2009 when President Myeongbak Lee was at the helm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government renounced the publicness of childcare service and expanded childcare service provision by the private sector followed by adoption of childcare vouchers and childcare allowances as another tool of financial support for childcare. Those changes led the work-family policy to make a regression toward its path dependence under the influence of (re)familiarization.
    However, hierarchical inequity emerged within the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system due to its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sulting institutional heritage. The childcare policies have acquired implicit familism as a res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