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장지상주의와 탈성장사회 (Growth Supremacy and Degrowth Socie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1.11
27P 미리보기
성장지상주의와 탈성장사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60권 / 187 ~ 213페이지
    · 저자명 : 조영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성장이 인간과 자연을 파멸로 몰고 가는 위기의 시대에 ‘탈성장사회’ 논의를 통해 성장의 신화를 넘어서 물질적 가치보다는 ‘좋은 삶’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사회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데 있다. 성장지상주의는 자본주의든 사회주의든 산업주의에 기반한 것으로서, 오늘날 생태위기로 인해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성장지상주의의 대안으로서 탈성장론은 단순히 성장을 멈추자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차원에서 사회를 전환하자는 것이다. 탈성장론의 기초가 되는 ‘자율성 이론’은 일리히, 카스토리아디스, 고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이들은 관료제 비판과 참된 민주주의 실현을 강조했다. 탈성장론은 검소하고, 균형 잡힌 자율사회 구축을 위한 방안이며, 탈성장사회로의 이행은 삶을 단순하게 하고, 적게 소유하면서도 ‘공생공락’할 수 있는 사회로 전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라투슈는 생태민주주의를 위한 구체적 정책을, 해밀턴은 행복 실현을 위한 ‘축소이행의 정치’ 전략을 제시한다. 최근 탈성장사회론이 경제를 붕괴시키고 미래의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하는 급진적 이상론이라며 비판받는 측면도 있지만, 절박한 생태위기를 극복할 ‘다양한 대안의 모태’로서 그 타당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는 ‘좋은 삶은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문제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탈성장사회론은 민주적 전환 과정과 검소한 삶을 통해 온전한 자연환경을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는 정의롭고 좋은 삶을 지향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a transition to a new social system aiming for a ‘good life’ rather than material values, beyond the myth of growth, through the discussion of ‘degrowth society’ in an era of crisis when economic growth drives humans and nature to ruin. Growth supremacy is based on industrialism, whether capitalism or socialism, and its limitations are exposed due to the ecological crisis today. As an alternative to growth supremacy, degrowth theory is not to simply stop growth, but to transform society at a fundamental level. The theory of ‘autonomy’, which is the basis of degrowth theory, was centered on I. Illich, C. Castoriadis, and A. Gorz, who emphasized the critique of the bureaucracy and the realization of true democracy. The degrowth theory is a way to build a frugal and balanced autonomous society, and the transition to a degrowth society is to transform into a society where people can live in harmony with fewer possessions. Here, S. Latouche presents a specific policy for ecological democracy, and C. Hamilton presents a strategy of ‘political downshifting’ for the realization of happiness. Recently, the theory of degrowth society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a radical idealism that collapses the economy and fails to provide a blueprint for the future, but its validity is recognized as a ‘matrix of various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imminent ecological crisis. This is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question of ‘What is a good life?’, and the theory of degrowth society aims for a just and good life that can pass down a healthy natural environment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mocratic transformation and frugal li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