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실연극의 탈경계화 탐색 (Speculation on the Borderless Characteristics of Classroom-Theat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09
19P 미리보기
교실연극의 탈경계화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연극학 / 14권 / 2호 / 1 ~ 19페이지
    · 저자명 : 김선애

    초록

    교실연극에서 관찰되는 연극적 탈경계화의 강화 배경과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학생들이 서사 속허구적 인물로서의 행위자, 그 행위를 보는 관찰자로서의 역할을 맡는 교실연극은 전문 배우가 연행하는 극장연극과 연극성을 공유하면서도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교실연극은 교과 교육의 일부로수행되기 때문에 준비 기간이 단기적이다. 대본의 창작, 리허설, 장치 설치가 거의 동시에 진행된다. 둘째, 배우를 수행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배우로서의 사전 훈련이 전무한 상태로 비전문적이다. 여기에 연습 시간의 부족까지 더해져서 연기적 수행력은 떨어지게 된다. 셋째, 극장으로 사용되는 교실은 다기능적이며 개방적이어서 극적 공간으로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교실은 학생들의 일상 공간이기 때문에 극적 공간이 현실 공간의 간섭을 수시로 받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간섭하면서 연극적 탈경계화의 특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서사의 허구와 교실의 일상 구분을 혼돈스럽게 하며, 연기를 하는 행위자와 그것을 보는 관찰자의 구별을 모호하게한다. 연기어(演技語)와 일상어의 지위가 혼재되며, 배우와 관객의 관계는 교실 속 교우 관계와 뒤섞인다. 교실연극의 관객은 연극을 수업 중의 특별한 활동으로 여기면서 극중 배우를 낯선 활동을 하는 친구정도로 인식하기도 한다. 또 교실의 실제적 사건이 연극을 중단시키거나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런 특징은 교실연극의 연극 기술적 완성도를 낮추기도 하지만, 연극적 탈경계화의 강화로 인한 현실과 허구, 행위와 관찰, 주체와 객체의 적극적 교차는 학생들의 공감을 강화하고 체험을 다각화하면서 교과 내용을감각적으로 수용하게 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phenomena of the fortified borderless characteristics in the classroom-theatre. Students play both roles as performers and spectators, which is a peculiarity of classroom-theatre. Another features differing the classroom-theatre from performances in the theatre are short-term preparation, and untrained amateur actors. Classroom-theatre is a part of the curriculum at school, and short amount of time is alloted. Consequentially writing a text, rehearsing, and setting a stage are processing at roughly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time lack. This causes poor quality of acting in the performance and interrupts to concentrate on acting. The last feature focused is a unsettled space for the theatre. The stage in the classroom-theatre is the classroom itself. This means that there is no physical division between classroom as a stage and classroom as a living space. As a result, great and small real life events may often interrupt the performance.
    These traits are blended and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atrical borderless in the classroom-theatre. The fiction of the play is mixed up with the reality of the classroom on account of the unstable theatre space. In addition, the border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 is blurred. The spectators feel performers as more friends rather than actors when these cannot keep focusing in acting. The fortified characteristics of theatrical borderless might lower the level of completion as a performance which is not crucial in the classroom-theatre. Active interference between fiction & reality, and between acting & spectating that is sprung from the borderless characteristics of classroom-theatre can promote to feel sympathy more deeply, which helps to learn the subject more sensu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