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 씽킹에서의 공감 기반 방법론 ‘경험의 나무 (ToE)’ 개발에 관한 연구 -스마트 가전 및 인테리어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Developing the ‘Tree of Experience (ToE)’ as an Empathy Method in Design Thinking -Focused on Designing Smart Appliances and Interior Spac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5.06
16P 미리보기
디자인 씽킹에서의 공감 기반 방법론 ‘경험의 나무 (ToE)’ 개발에 관한 연구 -스마트 가전 및 인테리어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31권 / 2호 / 81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서영, 최준미, 나건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이너 개인의 경험과 감정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아이디어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감 기반의 방법론 ‘경험의나무 (Tree of Experience, ToE)’를 개발하고,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사용자 중심 디자인 방법론이외부 관찰에 기반한 사용자 데이터에 집중하는 반면, ToE는 디자이너의 내면적 경험을 활용하여 잠재된 사용자 니즈를 발견하고 감성적으로 깊이 있는 아이디어발산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스마트 공간 (모빌리티 인테리어 UX, 스마트 홈 가전)을 주제로한 두 차례의 디자인 씽킹 워크숍에서 Define과 Ideate 단계에 ToE를 각기 다르게 배치하여 적용 시점에 따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 51명의 디자인 전공학생들이 참여한 이 워크숍에서, ToE는 공감 형성, 문제 재정의, 아이디어의 감정적 깊이 강화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은 ToE 워크시트를 사용자 니즈 발굴 및 아이디어 확장에 활용하였다. 워크숍 종료 후에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oE 의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적용 시점에 따라 다른 구조로 설계된 ToE 방법론은 문제 정의 단계에서는 사용자 통찰을 심화시켰으며, 아이데이션 단계에서는 서사 중심의 창의적발상에 기여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ToE를 스마트 공간 내 제품과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중심 혁신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반영적 방법론으로 제안하며, 공감 기반 문제 정의와 감정 기반 아이디어 확장에 효과적인 도구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연구는 ToE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사용자의 깊은 공감을 위한 실질적 도구이자 개념적 프레임워크로 제시하며, 향후 디자인 교육과 실무 현장에서 감성적 공감 능력과 디자이너의 내면적 성찰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ree of Experience (ToE), a methodology based on empathizing users, which enables designers to translate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emotions into creative design ideas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with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hile conventional user-centered design tools focus primarily on user data derived from external observation, the ToE method systematically structures designers’ internal experiences and emotions to offer new insights during the design process.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wo design thinking workshops were conducted on the themes of smart environments - specifically interior UX in mobility and smart home appliances. The ToE method was applied at different stages (define and ideate) of design thinking process to comparatively analyze its impact based on timing. A total of 51 design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oE metho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pathy building, problem reframing, and the emotional depth of ideation. Participants used the ToE worksheet to find user needs and expand their ideas. Post-workshop surveys were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method. Findings revealed that the ToE’s structure and placement significantly shaped its function: in the define phase, it facilitated deeper user insights, while in the ideate phase, it supported narrative-driven creative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ToE as a reflective methodology for user-centered innovation in the design of products and services for smart interior spaces. It highlights the method’s potential as an effective tool for empathy-based problem framing and emotionally grounded idea development. By positioning the ToE as both a practical method and a conceptual framework, this study contributes to design education and practice by fostering emotional empathy and internal reflection among desig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