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장 서사를 다룬 ‘코다(Children of Deaf Adults)’ 영화의 사운드 양상 고찰: 청각장애영화 <미라클 벨리에>와 <코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und Aspects of the Film ‘CODA (Children of Deaf Adults)’, a Coming-of-Age Narrative: Focusing on the Deaf Films and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4.10
20P 미리보기
성장 서사를 다룬 ‘코다(Children of Deaf Adults)’ 영화의 사운드 양상 고찰: 청각장애영화 &lt;미라클 벨리에&gt;와 &lt;코다&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20권 / 3호 / 27 ~ 46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김태수

    초록

    이 글은 ‘코다(Children Of Deaf Adults)’를 다룬 두 영화 <미라클 벨리에>와 <코다>에서 주인공의 욕망과 성장이 실현되는 장애 가정을 중심으로, 기호 표상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운드 양상을 고찰 하였다. 지금까지 코다 또는 농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영화분석에서는 소외 극복을 위한 장애인 가 족의 심리 치료, 사회적 소통의 필요성을 다룬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텍스트의 주요 인물인 코다의 내적 장애 극복, 성장을 통한 정체성 회복 서사를 음악과 음향적 측면에서 성찰하려는 시도 는 보이지 않았다. 영화에서 코다의 성장 서사를 담은 사운드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사운드는 코 다 자신을 성장시키고 현실의 긴장감을 완화하는 기호일 뿐 아니라 관객의 공감 능력을 추동하고 적절한 장면 전환을 입체적으로 지원했음을 규명하였다. 이 논문에서 고찰하는 음악과 침묵 등 사 운드에 대한 이해는 청소년 코다의 욕망 성취의 의미를 밝힘과 동시에 청인과 농인 간 소통의 방 식, 내러티브 구현의 방법론을 제시하며 코다 영화에 나타난 사운드 기호 분석의 필요성과 가능성 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sound aspects from the perspective of symbolic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disabled family where the protagonist’s desires and growth are realized in the two films <The Belier Family> and <CODA> that deal with ‘Coda (Children of Deaf Adults)’. Until now, film analyses targeting Coda or deaf famil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treatment of disabled families to overcome alienation and the need for social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reflect on the narrative of Coda, the main character in the text, overcoming her internal disability and recovering her identity through growth,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and acousti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ound aspects that contain Coda’s growth narrative in the film, it was revealed that sound is not only a symbol that helps Coda grow and relieves the tension of reality, but also promotes the audience’s ability to empathize and supports appropriate scene transitions in a three-dimensional way. The understanding of sound, including music and silence, examined in this paper not only reveals the meaning of fulfillment of Coda’s desires as a young man, but also suggests a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ring and the deaf, and a methodology for implementing narratives, and suggest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nalyzing sound symbols in Coda’s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