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스쿨에서의 인권교육 현황과 과제 - 유엔 세계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관점에서 - (Present and Perspective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Law School - Forced on the UN World Programme for Human Rights Education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1.08
35P 미리보기
로스쿨에서의 인권교육 현황과 과제 - 유엔 세계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관점에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52호 / 31 ~ 65페이지
    · 저자명 : 채형복

    초록

    인권교육이란 “공동체들 사이에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관계를 증진하고 성취하기 위하여, 또한 상호 이해와 관용, 그리고 평화를 강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훈련과 필수적인 공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세계인권회의에서 채택된 ‘비엔나선언 및 행동계획’ 제78항). 이 관점에서 보면, 인권교육은, ‘학습’은 물론 ‘훈련과 공적 정보(training and public information)’가 아울러 제공되어야만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권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교사의 역할뿐 아니라 국가에 의한 지원과 이행, 그리고 국제적 협력도 중요하다.
    위 내용들을 로스쿨에서의 인권교육과 결부시켜 살펴보면, 교육의 주체인 로스쿨과 교수, 그리고 지원기관인 국가(관련 정부부처, 특히 국가인권위원회)가 상호 혹은 개별적으로 담당해야 할 역할의 범위가 명확하게 정립될 수 있다.
    현행 로스쿨제도와 변호사자격시험제도가 가지는 여러 한계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결되어야 할 내용은 무엇일까?첫째, 로스쿨은 무엇보다 교육기관으로서 ‘교육의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 이 점은 ‘우수한 법조인 양성’을 지향하는「로스쿨법」의 기본 취지이기도 하다.
    둘째, ‘공익ㆍ인권법’의 담당교원의 역할도 재고되어야 한다. 현재 ‘공익ㆍ인권법’이 특성화되어 있는 로스쿨조차도 이 프로그램을 전담할 전임교원이 제대로 확보되어 있지 않다. ‘공익ㆍ인권법’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당해 교과목을 전담할 전임교원의 확보는 시급한 문제이다.
    셋째, 로스쿨에서 인권교육의 정상화를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함은 재론을 요하지 않는다. 이제까지의 소극적 자세를 버리고 유엔 차원의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국가적’ 이행 차원에서라도 보다 적극적으로 로스쿨에서의 인권교육을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 세 주체(로스쿨-교수-국가인권위원회)는 긴밀히 협력하여야 한다. 로스쿨 학생들은 우리 사회를 책임질 미래의 법조인들이다. 그들이 ‘공익과 인권’에 대한 올바른 관념과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가르치고, 훈련하는 것은 교육기관과 교육자, 그리고 국가기관의 당연한 의무이다.

    영어초록

    Human rights education is defined as “training and public information essential for the promotion and achievement of stable and harmonious relations among communities and for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tolerance and peace”(Para. 78 in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adopted by the World Conference on Human Rights). In this point of view, human rights education can be attained through studying, training and public information.
    For human rights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say that the tripartite subjects, that is, the cooperation amo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teachers and states, have a close cooperation. If these above aspects apply to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Law School, we appreciate that the Law School, Professors and State, especiall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NHRC) have closely to cooperate each other.
    And then, how do we improve certain limits and problems of the Law School and Bar Exam system in human rights education?First, the Law School should devote to the essence of education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t is a basic object of ‘the Law School Law’ which intends to ‘an excellent jurist cultivate’.
    Second, it must be reconsider the role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f the ‘public interest & human rights law’. In present, even the Law School, which is adopting in the specialized sector as the ‘public interest & human rights law’, does not secure an sufficient number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f this programme. Secure the professors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education of ‘public interest & human rights law’.
    Third, it is so important to rethink the role of the NHRC in human rights education. The NHRC have to try to support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Law School in the title of 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UN World Programme for Hman Rights Education.
    Lastly, the tripartite subjects(Law School-Professor-NHRC) have to cooperate in human rights education. They are subjected to educate and train the students of Law School as future jurist that they have a correct concept and knowledge about the human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