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벤키 샤먼의 의례 공간 춤 외부와 호모콘 형상 연구 (A Study on the Outside of the Evenki Shaman's Ritual Space Chum and the Shape of the Homok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4.11
31P 미리보기
에벤키 샤먼의 의례 공간 춤 외부와 호모콘 형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55호 / 147 ~ 177페이지
    · 저자명 : 이현경

    초록

    본 연구는 에벤키 샤먼의 춤(чум) 외부 공간과 그곳에 구조를 분석해보고 이들 구조에 내포된에벤키 샤머니즘의 우주관과 영혼 표현의 방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장승과 유사한 인물형 우상 호모콘(хомокон)을 집중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퉁구스-만주 계열 판테온의 민족·문화적 특징을 알아보고, 그동안 장승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었던 근본적인 형상의 문제들을 풀어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에벤키 샤머니즘의 우주세계는 상층, 중간, 하층 이렇게 3계 구도로 나뉘어져 있다. 지상의 인간들이 거주하는 중간세계인 춤을 기준으로 호모콘은 신령들의 세계인 상층세계로 향한 다르페갤러리와 죽은 자들과 악령의 세계인 하층세계를 관문인 오낭 갤러리에 두 줄로 나열되었다. 에벤키판테온에는 3계 구도에 따른 수많은 영혼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 호모콘은 중간세계에 속하면서에벤키 샤먼의 의례 시 우주여행을 하게 될 때 춤을 보호하는 수호령이자 샤먼의 업무를 돕는 도우미령이다. 호모콘은 사냥, 어업, 가축 사육 등 각 장소에 관련된 중간세계의 신령들, 즉 산의 영고로도(Городо), 산과 강 그리고 샤냥과 낚시의 수호령 칼가마(Калгама), 난로의 수호령 뽀자(Подя)의 범주에 든 신령이기 때문에 이들의 두상인 뾰족한 봉우리 형상과 이 신령들에 종속된물의 곰 무에 두엔테(Муэ дуэнтэ)의 곰 머리 형상을 취하고 있다. 또 전체적 조형방식은 사람의그림자-영혼인 하냐칸(Ханякан)의 외형을 빌려와 불명료하고 투박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들 신령은 모두 생업활동을 독려하고 지상에서의 생산력을 도모하는 존재들로 호모콘 또한 남녀 쌍을이루어 이러한 생명과 다산을 상징하고 있다. 이러한 에벤키 샤머니즘의 신령 중 하나인 호모콘의외형은 우리의 장승과 닮은 요소가 많아 에벤키족과 우리의 친연성을 입증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um(чум) of the Evenki shaman and the external space and its structure, and to find out the cosmology of Evenki shamanism and the way of expressing the spirits contained in these structures. In addition, by intensively examining the homokon(хомокон), an anthropomorphic idol resembling the Korean jangseung, this study aim to find out ethn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ungus-Manchu panthe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solving fundamental problems of form that could not be understood through the jangseung alone.
    The universe of Evenki shamanism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the upper, the middle, and lower. Based on the middle world of chum, where humans reside, the homokons are arranged in two lines in the Darpe Gallery, which leads to the upper world, the world of spirits, and the Onang Gallery, which is the gateway to the lower world, the world of the dead and evil spirits. In the Evenki pantheon, there are numerous spirits according to the three levels, but among them, the homokons belong to the middle world and are guardian spirits who protect chum when they travel through space during Evenki shaman rituals and help shamans with their work.
    Homokon belongs to the category of spirits of the middle world related to each place such as hunting, fishing, and livestock raising, namely, the spirit of the mountain, Gorodo (Городо), the guardian spirit of mountains, rivers, and hunting and fishing, Kalgama (Калгама), and the guardian spirit of the hearth fire, Podya (Подя), so it has the shape of a pointed peak, which is their head. And it takes the shape of the bear head of Muэ дуэнтэ, the bear of water subordinate to these spirits. Also, the overall design borrows the appearance of Khanyakan (Ханякан), the shadow-soul of a person, and has an unclear and crude appearance.
    All of these spirits encourage livelihood activities and promote productivity on earth, and Homokon also forms a male and female pair to symbolize life and fertility. The appearance of Homokon, one of the spirits of Evenki shamanism, has many elements similar to Korean jangseung, proving the kinship between the Evenki people and 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