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에서의 코주부 - 기타 코우지에서 김용환으로 (KOCHUBU in Japan: Transition from KITA Koji to KIM Yong-Hwa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4.04
35P 미리보기
일본에서의 코주부 - 기타 코우지에서 김용환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만화웹툰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웹툰연구 / 4권 / 1호 / 97 ~ 131페이지
    · 저자명 : 우시다 아야미

    초록

    1912년 기타 코우지, 즉 김용환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조선에서 만화만으로 생계를 유지한 첫 직업 만화가였다. 그가 어떻게 해방 후 조선에서 만화가로 활약할 수 있었는지, 또 기타 코우지라는 이름의 삽화가가 후에 직업 만화가인 김용환이 될 수 있었는지, 젊은 날에 일본에서 활약한 기타 코우지의 활동 과정을 검증하는 것과 동시에 한국전쟁을 거쳐 일본으로 돌아온 이후 김용환의 활동에 어떤 변천이 있었는지. ‘기타 코우지와 김용환’과의 현격한 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 코우지의 프로필을 보면, 잡지 ≪니혼쇼넨(日本少年)≫에서 데뷔했다고 적혀 있지만, 실제로는 ≪가나이솝(カナイソップ)≫이라는 서적일 것이다. 스승인 에지마 다케오(江島武夫)의 삽화를 도와준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그림 실력도 뛰어났지만, 인간관계에서도 축복받았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전전(戦前) 본 논문에서는, ‘전전(戦前)’은 1945년 8월 14일 이전을 가리키고, ‘전후(戦後)’는 1945년 8월 15일 이후를 가리킨다.
    에 일본에서의 활약으로 그의 작품이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인기 삽화가였던 것도 엿볼 수 있다. 그의 대표작인 ‘코주부’를 주인공으로 한 만화와 삽화는, 한국에서는 유명한 캐릭터이다. ‘코주부’의 탄생은 일본이지만 일본에서는 별로 알려진 캐릭터가 아니다. 현재 한국에서 김용환의 이름은 몰라도 ‘코주부’를 아는 사람은 많다. 해방 후 조선에서의 ‘코주부’는 김용환의 분신이 되어 만화가로서의 결정적인 명성을 거두게 된다.
    1959년 일본으로 돌아오고 나서는 전쟁 전과 같은 활약을 신문이나 잡지에서 볼 수가 없다. 그러나 1974년이 되어 일본에서 발간되고 있던 한국계 신문 ≪통일일보≫에 작품을 싣게 된다. ≪통일일보≫에서는 기타 코우지의 이름은 사용되지 않고 김용환으로 게재된다. 1974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거의 모든 시사만화, 연재소설의 삽화, 컷 분할 만화를 김용환이 담당했다. 많을 때는 시사만화, 4컷 만화, 연재소설의 삽화는 하루에 3점도 그렸다. 때로는 에세이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
    1980년에 헤이본샤(平凡社)에서 발간된 일본의 대표적인 삽화가를 선정한 서적 속에 ‘기타 코우지’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니혼쇼넨≫이나≪쇼넨쿠라부≫에서 활동했던 삽화가들이 모두 게재된 것이 아님을 감안하면 전기물 장르 중에서도 일본을 대표하는 삽화가인 것은 틀림이 없다. 1978년부터 1980년에 걸쳐 김용환은 ≪통일일보≫에 매일 연재를 하고 있었지만, 이즈음에는 ‘기타 코우지’라는 삽화가는 사라지고 완전히 김용환으로서 확립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study the representation of Japan's foreign countries before the Second World War, I researched all the "Shonen Club" magazines, and the last page of the last issue in 1962 was decorated by an illustrator named "Koji Kita". "Shonen Club was a very popular magazine, with a circulation of 750,000 copies in 1936, with many illustrations and cartoons.
    Kim Yong-hwan, alias Koji Kita, is known as the father of Korean cartoons, but his activities in Japan are shrouded in mystery. Those who work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n pre-war Japan could not escape the national policy of writing articles that encouraged their readers to become more warlike. Kim Yong-hwan is known as a manga artist, but he came to Japan to study Western painting. Kim Yong-hwan entered the Imperial Academy of Fine Arts, a new school that had just been founded, and it was as a student there that he made his debut as an illustrator.
    The profile of Koji Kita says that he made his debut in the magazine "Nihon Shonen", but in fact it was probably a book called "Kanaisopu". It is thought that he helped his master, Takeo Ejima, with the illustrations. This suggests that he was blessed not only with skill but also with human relationships. The fact that many of his works have survived suggests that he was a popular illustrator.
    His cartoons and illustrations with "Kochubu", one of his most famous works, are well-known characters in Korea. Although "Kochubu" was born in Japan, he is not a well-known character in Japan. In Korea today, many people know Kochubu even if they do not know Kim Yong-hwan's name.
    I guess that the predecessor character of Kochubu may have been a magazine first published in Korea in 1944. In post-liberation Korea, Kochubu became Kim Yong-hwan's alter ego, and he achieved lasting fame as a cartoonist.
    After his return to Japan in 1959, his success wa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was no longer as great as it had been before the war. In 1974, however, his work began to appear in the Korean newspaper "Touitsu Nippo", which was published in Japan. He no longer used the name Koji Kita but called himself Kim Yong-hwan. From January 1974 to December 1989, he handled almost all current affairs comics, illustrations for serialized novels and panel comics. "Touitsu Nippo" often published his current events comics, four-panel comics, and illustrations for serialized novels three times a day. Sometimes he drew essay comics. Before working for Touitsu Nippo, Kim Yong-hwan worked for the US military. Many are unsigned and cannot be identified today. They were used by the military.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numerous, there are signed illustrations from Kodansha in Japan under the name of Koji Kita.
    After returning to Japan in 1959, he began to use the name Kim Yong-hwan, which had not been used in Japan before the war. In 1972, the illustrator for the Sherlock Holmes children's series "Detective Holmes Masterpieces Selection 7" published by Kodansha was Kim Yong-hwan.
    In 1980, Heibonsha published a book that selected representative illustrators in Japan, and the name "Koji Kita" is listed. Considering that not all the illustrators who drew for Nihon Shonen and Shonen Club were listed in the book, there is no doubt that Kita is one of the leading illustrators of war stories in Japan. Although Kim Yong-hwan wrote a daily serial in "Touitsu Nippo" from 1978 to 1980, when the book was supposedly compiled, there was no illustrator named "Koji Kita" at that time, and he had fully established himself as Kim Yong-hwan.government has, since 2002, cartoon comics industry nurture long-term industrial development of five-year pl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웹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