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holarchic holism)와 수운의 시(侍)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 (The Integral Vision in Ken Wilber’s Holarchic Holism and Suun’s Idea of 「Si」)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1.12
45P 미리보기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holarchic holism)와 수운의 시(侍)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23호 / 7 ~ 51페이지
    · 저자명 : 최민자

    초록

    본 연구는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와 수운의 「시(侍)」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을 비교 고찰하고 그 실천적 함의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비교론적 연구는 통합 패러다임과 통합 학문의 비전을 제시하고,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고함으로써 지구생명공동체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또한 이들 통합적 비전에 대한 비교론적 고찰은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에 근거한 기계론적․환원론적 세계관의 편협성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전일적 시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함으로써 생명시대의 도래를 추동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초개인심리학자이자 포스트모더니스트인 켄 윌버는 ‘통합적(integral)’이란 용어를 ’다양성 속의 통일(unity-in-diversity)’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한마디로 의식과 물질, 내면과 외면, 자아와 세계, 주관과 객관이 모두 ‘한맛(One Taste)’이라는 것이다. ‘생명의 3화음적 구조(the triad structure of life)’를 갖는 수운 최제우의 「시(侍)」철학 또한 전일적인 생명의 역동적 본질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윌버의 홀라키적 우주론(Holarchic Kosmology)과 수운의 「시(侍)」철학은 만물의 전체적인 전일성, 즉 모든 것을 포괄하는 거대한 전체를 상정한다. 다시 말해 이 우주 속의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어 홀라키적인 다차원적 생명의 그물망을 형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윌버와 수운의 통합적 비전은 그들의 홀라키적 전일주의와 비이원론적인 세계관에서 비롯된다. 통합적 비전의 필요성은 낡은 기계론적 세계관의 관점이 더 이상은 생물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현상이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오늘의 실제 세계를 반영하지도, 문제해결의 유익한 단서를 제공하지도 못한다는 사실에 있다. 하여 근대의 ‘도구적 이성’과 ‘도구적 합리주의’에 대한 자기반성이 촉구되고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역설되면서 통합적 비전에 의해 세계가 재해석될 필요가 생겨난 것이다. ‘영적인, 그러나 종교적이지 않은’――이 말 속에 지구생명공동체의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consider comparatively the integral vision in Ken Wilber’s holarchic holism and Suun’s idea of 「Si」and to clarify its practical implication. It is indeed meaningful in that this comparative study enables to present the vision of integral paradigm and integrative learning and to contribute to the embodiment of global life community by raising an insight into the oneness of life. We also can find its meaning in that such comparative consideration for the integral vision enables to get out of narrow-mindedness of a mechanistic and reductionistic world view based on the dichotomy of subject and object and to operate as a factor of deriving the advent of life age by urging paradigm shift to the universal holistic vision.
    Ken Wilber, transpersonal psychologist and postmodernist, uses the term ’integral’ as implying a true unity-in-diversity. In a word, consciousness and matter, interior and exterior, self and world, are of One Taste. Suun Je-u Choe’s philosophy of 「si」 which has ‘the triad structure of life’ also shows lucidly the dynamic nature of holistic life. Wilber’s Holarchic Kosmology and Suun’s philosophy of 「si」 assume the oneness of the totality of all things, that is, the great all-including whole. In other words, their view reveals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mutually interconnected and thus form the holarchic multi-dimensional web of life.
    Wilber and Suun’s integral vision is derived from their holarchic holism and nondual world view. The necessity of the integral vis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old mechanistic world view reflects no more today’s real world in which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phenomena are mutually interrelated and interconnected, and offers no more a useful clue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Thus, self-reflection on modern instrumental reason and instrumental rationalism has come to be urged and the necessity of paradigm shift to be emphasized and thus has been arisen the necessity of reinterpretation of world by the integral vision. Spiritual, but not religious――in this word lies the possibility of global lif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