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폴라니의 사회적 자유와 채무 인식: 새로운 도덕적 사회의 구상 (Karl Polanyi’s Social Freedom and Debt Recognition: The Vision of a New Moral Societ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9.06
47P 미리보기
칼 폴라니의 사회적 자유와 채무 인식: 새로운 도덕적 사회의 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2권 / 2호 / 1 ~ 47페이지
    · 저자명 : 원용찬

    초록

    산업시대를 기초로 발전해왔던 시장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경제학이심각한 도전에 직면해있다. 시장경제를 신념체계로 삼았던 주류경제학의상품화폐이론도 거센 논쟁에 휘말리고 있다. 칼 폴라니의 실체 경제는주류경제학의 위기 징후와 탈물질 패러다임의 전환기에서 확장성을 보여 준다. 지금 시장–화폐적 관계로 묶여있던 ‘인간과 자연의 통합’을 해체하여 탈시장의 영역과 탈상품관계로 재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칼폴라니의 사회적 자유는 ‘인간과 자연의 사회적 통합’의 가치를 새롭게모색하려는 시도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사회적 자유는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고립화된 개인의 경제적 자유에서 벗어나 ‘타인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감당하고 자신의 선택과 행동이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았든사회적으로 미치는 결과까지도 감당하는 자유이다. 사회적 자유에 기초한 채무인식과 상호성의 통합패턴은 동료와 자연에 대한 의존관계를 핵심으로 하는 실체경제에 새로운 작동원리가 될 것이다. 채무와 책무의관점에서 상호성과 접합하는 화폐의 지불수단은 시장경제를 사회에 되묻고 도덕적 가치로 재조직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실체경제의패러다임은 상호의존의 채무와 반제를 연쇄 고리로 삼는 도덕적 행동과사회적 책무라는 비경제적 동기를 역동적 에너지로 삼는다. 실체 경제에서 상호성을 강력한 구심점으로 삼아 재분배와 교환을 부차화시켜 동태적 균형 상태로 만들어가는 대칭성의 작동원리도 채무와 반제, 사회적책무라는 도덕적 동기에 기초하고 있다. 칼 폴라니는 화폐를 허구적 상품으로 파악하고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이나 신고전학파의 주관적 효용가치설을 거부한 점에서 독창적이다. 화폐와 상호성에 입각한 사회적 채무의 창출과 재분배의 지불수단, 즉 지불수단이라는 특정목적 화폐의 용도지정을 사회적 권리로서 확대하는 작업은 경제를 사회에 되묻는 일이며 동시에 사회를 보호하고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이중운동이기도하다. 칼 폴라니의 사회적 자유와 실체경제 패러다임은 산업시대의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극복하거나 디지털의 탈물질적 가치와 선택적으로 접합하여 새로운 사회의 구상으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준다.

    영어초록

    Market capitalism and neoliberal economics, which hav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industrial age, face serious challenges. The commodity monetary theory of mainstream economics, which made the market economy a belief system, is also engulfed in fierce debate. Karl Polanyi ‘s substantive economy shows extensibility at the turn of the crisis symptoms of mainstream economics and the post - material paradigm.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integration of man and nature tied up with the market-monetary relationship and reintegrate into the domain of de-market and de-commodity relations. Karl Polanyi’s social freedom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attempts to renew the value of social integration of man and nature. Social freedom is the freedom to take 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others and to take on the consequences of their choice and action whether they are intended or socially, away from the economic freedoms of individuals isolated from society. The integrated pattern of debt recognition and reciprocity based on social freedoms will be a new operating principle for the substantive economy centered on dependence for his livlihood upon nature and his fellows. The means of payment of money in terms of reciprocity from the viewpoint of debt and obligation provide important clues to embed market economy into society and reorganize it into moral values. The paradigm of the substantive economy is the non-economic motive of moral behavior and social obligation as a chain of mutual dependence debt and counter-giving as dynamic energy. It is based on moral motive of debt, repayment, and social obligation as the principle of symmetry, which makes reciprocity as a strong point in the substantive economy and makes it dynamic by subordinating redistribution and exchange. Karl Polanyi is unique in that he sees money as a fictional commodity and rejects Marx ‘s labor theory of value or subjective utility value of new classical economics. The creation of social debt based on money and reciprocity and the means of payment of redistribution, ie, the use of a specific purpose money as a means of payment, as a social right, is the process of re-embedding the economy into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protecting the society, It is also a double movement to do. The social freedom and substantive economic paradigm of Karl Polanyi i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overcome the mainstream economics of the industrial era and to selectively connect with the intangible values of digital and to move to the idea of a new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