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라너의 근본적 결단(Grundentscheidung) 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A Critical Study on Karl Rahner’s Fundamental Option Theory)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7.12
53P 미리보기
칼 라너의 근본적 결단(Grundentscheidung) 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31호 / 167 ~ 219페이지
    · 저자명 : 김상용

    초록

    가정을 주제로 하여 최근에 두 차례 개최되었던 세계주교대의원회의에서의 토론 과정과 그 후속 사도적 권고 『사랑의 기쁨』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가운데에서 신앙과 도덕을 구분해서 바라보는 관점이 큰 호응을 얻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행위자와 행위, 법과 양심의 유대를 해체함으로써 개연론에 의거하여 ‘개별 사안에 따라’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하려는 경향을 조장하고 있다.
    본고는 이 같은 경향의 이론적 기초를 칼 라너의 신학적 인간학 특히 ‘근본적 결단’ 이론에서 발견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한다. 라너는 자유를 주체의 선험적 체험의 내용으로서 이해한다. 그래서 절대 존재의 지평에 대한 비주제적 앎을 바탕으로 자기 자신을 근본적으로 결정하는 초월론적 자유에 대해 언급한다. 이 자유는 반성의 대상 곧 선택이라는 인간적 행위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행위가 아니라 존재의 차원에 정위되는 자유라고 할 수 있다. 초자연적 실존으로서의 인간이 역사 안에서 자유로이 행하는 범주적 선택들을 통하여 현실화되지만, 늘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근본적 결단이 범주적 선택들과 맺고 있는 유대는 단지 우연적이기 때문이다.
    이 관점에 따르면, 하느님을 근본적으로 거부하는 결단을 내린 악마 같은 인간의 존재를 인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사람도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창조되지 않은 은총에 대해 ‘예’라는 결단을 내린 사람도 범주적 세계에서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선택을 할 수 있다. 결국, 범주적 자유는 인격의 도덕적 특성을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므로 선악을 판단하는 데에 있어서 무차별성 혹은 애매모호성을 띠게 된다.
    신앙 행위(fides qua)를 긍정적인 근본적 결단과 동일시할 때, 그리스도교의 도덕규범은 유용한 것이지만 결정적인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교회 교도권이 인정해 온 소위 절대적 도덕률을 부정하면서 이혼・낙태・피임 등의 도덕성을 역사적・문화적 맥락 안에서 파악함으로써 ‘내적으로 악한 행위’이거나 죽을죄가 아니라고 보도록 이끈다. 이에 대한 도덕성의 최종적인 판단을 인간 실존이 지니고 있는 초월론적・내적 차원 즉 양심에 유보시킨다.
    라너의 근본적 결단 이론은 윤리신학자인 J. 푹스와 B. 해링에 의해 계승・발전된다. 이들은 신앙과 유리된 도덕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는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분리를 함의한다.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특히 그분의 ‘십자가를 헛되이 하지 않도록’(1코린 1,17) 믿는 이들을 이끄는 교회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키는 효과를 동반한다.
    교회는 신앙 행위를 초월론적 결단(optio)이 아니라, ‘인간적 행위’(actus humanus) 즉 근본적 선택(delectio)으로서 이해한다. 그리고 신앙 생활과 도덕 생활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한다. 이 같은 관점으로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랑의 기쁨』을 해석하고 내년에 반포 50주년을 맞이하는 바오로 6세의 회칙 『인간 생명』의 가르침에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영어초록

    In the iter of the recent two Synods of Bishops on the Family and in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n the post-synodal Apostolic Exhortation “Amoris laetitia” emerged an increasingly influential viewpoint that separates faith from daily moral life. It leads to judging the morality of an act on ‘a case-by-case’ basis from a probabilistic perspective, demolishing vinculum not only between agent and act, but also between law and conscience.
    Considering that the above-mentioned trend in the field of moral and pastoral theology has its own roots in Karl Rahner’s theological anthropology, this article intends to present a critical and analytical approach to his theory of optio fundamentalis(Grundentscheidung). Rahner identifies transcendental freedom with fundamental self-determination, based on an unthematic knowledge of Absolute Being(God), thinking of human freedom as a content of the human subject’s a priori experience. This freedom cannot be an object of reflection, i.e. of delectio which is actus humanus. This fundamental freedom, located at the level of esse, rather than of agere, is actualized by means of categorical delectiones, freely performed in history, done by the human person which is defined as supernatural existential. However, the nexus between fundamental option and categorical choices is not necessary, but occasional.
    From this perspective, the existence of diabolic man who decisively says “no” to God may be possible to exist. But even such a person can make morally right choices. Those who say “yes” to the Gratia increata, can make morally false choices in the categorical world. As a result, the categorical freedom, unable to reveal perfectly mor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can be expressed as indifference or obscurity in relation to moral judgement concerning the good or evil of an act.
    When identifying fides qua with positive fundamental option, we come to understand that Christian moral norms are not what is decisive, albeit useful. Consequently, it leads one to believe that divorce, abortion, and contraception are neither viewed as intrincese malum, nor as mortal sins, because their morality could be evaluated only in a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while the so-called moral absolutes sustained by the Church’s Magisterium are totally negated. The ultimate moral judgement concerning these acts is reserved for a transcendental and interior sphere of the human as existential, that is, moral conscience.
    The Rahnerian theory of fundamental option has been succeeded and developed by moral theologians such as J. Fuchs and B. Häring. These affirm the autonomy of moral life separated from faith. Dissolving the bond between love of God and love of our neighbor, implicated in their opinion, induces weakening faith in Jesus Christ who is a historical Event, as well as in His Church that teaches and guides her faithfuls “ut non evacuetur crux Christi”(1Cor 1,17).
    The Church does not take fides qua into consideration as optio fundamentalis, but as delectio fundamentalis which is actus humanus, accentuating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daily moral life. It is this perspective that should be noted when we interpret Pope Francis’s “Amoris laetitia” and reread Pope Paul IV’s “Humanae vitae” of which the 5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will be celebrated in next y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