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와 초월: 칼 라너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History and Transcendence: According to the Theology of Karl Rahner)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7.12
36P 미리보기
역사와 초월: 칼 라너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199호 / 210 ~ 245페이지
    · 저자명 : 이규성

    초록

    본고에서는 가톨릭 신학자 칼 라너(Karl Rahner, 1904-1984)가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연구하고 나아가서 라너의 역사이해가 어떠한 함의를 갖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칼 라너의 초기 저작인 『말씀의 청자』와 후기 저작인 『그리스도교 신앙 입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초월론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라너는 인간을 질료적 정신으로 파악한다. 인간의 정신은 우선적으로 질료를 향한다. 곧 인간 정신은 타자지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일차적 대상은 질료가 된다. 그런데 질료는 자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수동적인 것이기에 인식에 수동적인 역할을 한다. 곧 인간 정신은 질료를 향하는 능동적 작용을 하지만, 질료적인 특징으로 말미암아 수용적으로 인식을 한다. 정신은 나아가서 타자를 지향하여 인식하고 원하는 가운데 자기 자신에게 돌아와 자신을 성취한다. 곧 인간 정신은 타자에게서 인식하고 원한 것을 반성적으로 자기 자신에게서 자유롭게 실현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인간은 자기 소유를 하게 되며 곧 인간은 본연의 존재가 된다. 역사는 인간의 본질적 정황으로서 곧 인간은 질료적 타자인 역사를 통해서 자신을 형성해 나아가며 결국은 이 과정을 통해서 인간은 존재 일반(das Sein überhaupt)의 근거인 절대타자를 지향하게 된다. 존재 일반은 그러나 인간 정신의 직접적인 인식의 대상이 되지 않고, 오히려 선취(Vorwegnahme)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인식된다. 존재 일반으로 말미암아 존재하는 사물들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인간 정신은 깨닫는다. 인간의 제한적 정신성으로 말미암아 역사 내에 자신을 드러내는 존재 일반을 명시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인간은 언제나 자신의 언어를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는 하느님을 이해하고 해석한다. 따라서 역사는 인간만의 역사가 아니라 자유로운 초월적 존재와 이에 자유롭게 응답하는 인간이 함께 하는 초월론적 역사다. 라너에게 있어서 역사는 인간이 본연의 존재가 되게 하는 타자이며 나아가서 하느님을 추구하고 만나는 매개가 된다. 이러한 라너의 역사이해는 인간이 역사에 전적으로 투신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Catholic theologian Karl Rahner(1904-1984) understands history and to elucidate implications of his understanding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direction toward the other in the material reality of history and their orientation to the transcendant reality of God through history. I focus on his early work Hörer des Wortes and later work Grundkurs des Glaubens.
    Using transcendental methodology, Rahner sees a human being as a materially embodied spirit which is other-directed and has as its primary object. Material itself is not self-existent; it is passive and plays a passive role in human perception. The human spirit perceives external reality through its material character as manifested in history, and the spirit achieves itself as it orientates itself to the other as manifested in history. The human spirit recognizes the other and accomplishes freely what it wants for itself. Human beings thus form themselves through history. Through this process, however, they eventually focus their orientation on the transcendant absolute other. History is the essential context of human beings, and the human spirit forms itself through history as a the material other. But through this process, it is directed to the absolute other, Das Sein überhaupt, the basis of all existence. Nevertheless, Das Sein überhaupt is not the object of direct awareness on the part of the human spirit, but of indirect awareness, through awareness of history by way of anticipation (Vorwegnahme). At the same time, Das Sein überhaupt constitutes the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for the human spirit to comprehend phenomena. Das Sein überhaupt reveals itself through history, but it cannot be explicitly defined by the limited mental nature of human beings. Rather, human beings always understand and interpret God as revealing Himself through their own language. History, therefore, is not a history of human beings alone, but a transcendental history of transcendental existence and human beings who respond freely to it. For Rahner, history is the other through which human beings become themselves and the medium through which they seek and meet God. This understanding of history can be seen as a basis for human beings total commitment to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