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서의 내부통제-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은행지배구조지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Internal Control of Financial Companies - A Comparative Study on the BCBS' Corporate Governance Principles for Banks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8.12
34P 미리보기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서의 내부통제-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은행지배구조지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1권 / 4호 / 173 ~ 206페이지
    · 저자명 : 김종범

    초록

    내부통제는 1991년 미국이 연방양형지침을 제정하면서부터 이사의 책임과 관련하여 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1996년 회사에 손해가 발생하였을 때 이사의 감시의무의 해태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까지도 경감시키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의 내부통제제도는 2000년대 초반에 금융관계법에 내부통제기준 및 준법감시인에 대한 사항이 입법되었던 것을 시초로 한다.
    내부통제의 개념에 대하여 현행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서는 ‘법령을 준수하고 경영을 건전하게 하며, 주주 및 이해관계자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융회사의 임직원이 직무를 수행할 때 준수하여야 할 기준 및 절차’를 내부통제기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내부통제는 회사가 경영상의 각종 위험을 스스로 관리하기 위한 내부관리를 의미하며, 그러한 내부관리에는 법규위반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준법감시, 금융거래상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위험관리, 내부 회계를 관리하기 위한 내부(회계)감사가 포함된다. 현행 금융사지배구조법에 의한 내부통제에 관한 규정들의 취지에 따른 내부통제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면 이사의 회사 또는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이 문제되는 경우에 이사의 선관주의의무위반이 인정되지 않도록 하는 하나의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현행법의 내부통제 관련 규정은 내부통제에 대한 이사회의 감독권한 강화라는 측면에서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은행지배구조지침에 비하여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다고 여겨지며 또한 내부통제를 담당하는 기구들인 준법감시인 및 위험관리책임자 등의 지위에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첫째, 내부통제의 최종적인 책임자는 이사회이며, 이사회에서 결정한 내부통제 관련 기본정책을 집행할 책임은 대표이사에게 있음을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부통제위원회에 대한 규정을 시행령이 아닌 법률의 형식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내부회계관리자를 준법감시인 및 위험관리책임자의 경우와 동일하게 이사회에서 사내이사 또는 (주요)업무집행책임자 중에서 선임하도록 개정하는 것이 법령의 통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나아가 현재 업무집행책임자 중에서 선임하도록 되어 있는 준법감시인의 경우에도 위험관리책임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요업무집행책임자 중에서 선임하도록 하는 것 또한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내부통제 담당자들과 이사회 또는 이사회내 위원회와의 관계를 명확히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이들이 사내이사 중에서 임명되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섯째,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에 관한 감사위원회와 위험관리위원회의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규정하고 이에 맞추어 선관주의의무를 부담하도록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ternal control had a legal meaning in relation to the responsibility of the directors since the U.S. established the Federal Sentencing Guidelines in 1991, this measure was extended to mitigate the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the negligence of the directors’ monitoring obligations when the company suffered losses in 1996. Korea’s internal control system was the beginning of the early 2000s when matters concerning internal control standards and compliance managers were enacted under financial acts.
    The concept of internal control is generally defined as a procedure that is influenced by the Board of Directors, management and other executives of the Company and designed to provide reasonable assurance in meeting the goals of the Company's management, financial reporting and compliance, the current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stipulates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that financial company executives and employees must follow when performing their dutie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law, to ensure sound management and to protect shareholders and stakeholders’. In other words, internal control means internal management for the company to manage management risks on its own, and such internal management includes compliance monitoring to manage risks for legal breaches, risk management for financial transactions and internal accounting. The regulations concerning internal control of the current law are considered to be somewhat inadequate in comparison to the BCBS' 'Corporate governance principles for banks'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board's oversight on internal control, also since there is confusion in the status of compliance officers and risk management officers of the companies responsible for internal control, the following improvement is necessar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licitly state that th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internal control is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at the Chief Executive Officer is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basic policies concerning internal control as determined by the Board of Director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provisions of the Internal Control Committee in the form of a law, not an enforcement decree.
    Third, it is deemed desirable for a unified application of the Act to be made by the Board of Directors to appoint an internal accounting officer from among the in-house directors or (major) operating officers, the same as the compliance officer and the risk management officer.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appointing a compliance officer among the major operating officers, consider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isk management officer.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ntrol personnel and the Board of Directors or the committees within the Board, and I believe that ultimately it may be an alternative for them to be appointed among the executive directors.
    Fifth, the roles of the Audit Committee and the Risk Management Committee on Internal Control and Risk Management need to be more actively defined and aligned to be organized to assume a duty of 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