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적 교수-학습 모형 탐색: D. I. Smith의 '기독교적 실천으로서의 가르침' (A Study on a Model of Faith-Informed Teaching: Teaching as a Christian Practice by D. I. Smith)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3.09
31P 미리보기
기독교적 교수-학습 모형 탐색: D. I. Smith의 '기독교적 실천으로서의 가르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신앙과 학문 / 28권 / 3호 / 91 ~ 121페이지
    · 저자명 : 유은희

    초록

    본 논문은 칼빈대학에서 Kuyers Institute of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의 디렉터이며,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D. I. Smith의 기독교적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 시도를 탐색한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는 의미와 실천을 확장하고 더 온전하게 하기 위한 자신의 다양한 시도를 하나의 모형으로 명명하고 있지 않기에 하나의 접근이나 모형으로 소개하는 것은 부적절하나,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내용과 쟁점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조명하며 기독 교사의 성품과모범을 강조하고 기독교적인 원리와 전제에 적합한 교수원리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넘어 기독교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논의를 더 확장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스미스의 시도가 중요한 통찰을 제시해주리라 기대하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의 이론은 매킨타이어의 습관과 덕의 형성에 있어서 실천의 중요성, 웽어의 실천공동체의 참여, 정체성, 레파토리, 개체화 등의 개념을 활용한 실천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과 실천과 공동체의 형성적 힘에 대한 다익스트라의 신학적 성찰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는 의미를 무엇을 가르치는가의 문제만 아니라 학생과 교수자가 함께 살아갈 삶의 패턴과 실천이 있는 페다고지적 집을 만드는 과정으로 확장하고, 그 실천에 참여함으로 특정한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으로 만들어가는 형성되어가는 학생의 전인적 형성에 주의를 기울였다. 기독교적 교수-학습을 설계하기 위해서 그는 새롭게 보고 상상하며, 학습 자료와 서로에게 관여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실천을 재구성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매킨타이어가 생각한 것과 달리 학생들을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돕고 그리스도의 제자로 세우기 위함이라는 내재적 선을 지닌 복잡하고, 정합성 있는 실천이다. 그 나름의 탁월성의 기준이 있고, 이는 구약의 기독교 공동체의 시작부터 연습해 온 역사적 실천이며, 멘토와 동료들을 포함하는 실천공동체와 함께함으로 더 성숙하고 온전해질 수 있는 사회적인 실천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attempts to design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by D. I. Smith, director of the Kuyers Institute for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and professor of education at Calvin University. While it is inappropriate to present his various and complex approaches as a single model because he does not label them as such, it is still beneficial to explore his approaches in order to expand and deepen the discussion of faith-informed teaching and learning beyond reframing curriculum from a Christian worldview, illuminating content and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emphasizing the character and modeling of the Christian teacher, and suggesting pedagogical principles and methods appropriate to Christian principles and premises. His theory draws on McIntyr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ractice in the formation of habits and virtues, Wenger's pedagogical ref lections on communities of practice using concepts such as identity, repertoire, participation and reification, and Dykstra's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formative power of Christian practices and faith community. Smith suggests to think of pedagogy as building a pedagogical home where teachers and students engage and participate in certain rhythms of life and by doing so, they are formed. To design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he proposed three strategies: seeing anew, choosing engagement, and reshapeing practice. Incorporating the definition of social practice by MacIntyre, teaching Christianly is a complex, coherent practice with an intrinsic good: to help students grow as a whole person and disciples of Christ. It is a historical practice that has been practic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e Old Testament, and it is a social practice that can be learned and done in a more fitting and mature way by practicing it with mentors and peers within the community of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