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배움과 가르침 방법으로서의 토론활동 고찰 (A Study on Discussion Activities as a Method of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Joseon Dynas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9.12
24P 미리보기
조선시대 배움과 가르침 방법으로서의 토론활동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1권 / 4호 / 229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래용

    초록

    오늘날 학생활동중심 수업을 강조하는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토론활동은 그 어느 때보다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이러한 토론활동이 개화기 때 일본을 거쳐 서구로부터 처음 들여온 것이라 여기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양뿐만 아니라 동양 및 우리나라 전통 교육에서도 토론 문화는 활발했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토론’이라는 용어는 중국의 고전인 『논어』나 우리나라의 역사서인 『삼국유사』로 거슬러 올라가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토론활동을 통한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수많은 동양 고전 문헌들이나 우리나라의 실록 및 역사서, 여러 학자들의 문집 등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군주의 공부 현장이었던 경연과 서원을 중심으로 강론을 통해 서로의 앎을 두텁게 한 강회, 서신을 통해 치열하게 주고받던 수많은 논변들을 통해 조선시대의 찬란했던 토론 문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에서 토론학습은 개화기 때 서구 및 일본을 통해서 처음 들여온 것이 아니라, 아주 오래전부터 일반화되어 있었던 일상의 공부 방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교육의 전통에서 토론은 서구의 아카데미식 토론과는 달리 경쟁적이지 않으며 의사소통의 형식보다는 주제의 참뜻을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어, 서로의 배움을 더욱 깊어지게 하여 앎을 두텁게 하고 상대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자라게 하는 과정에서 모두의 삶이 더욱 풍요로워지게 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oday, the awareness of the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school education of Korea, which emphasiz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is becoming higher than ever. There is a tendency to believe that discussion was first introduced to Joseon from the West through Japan in the late 19th century “flowering season”. However, the study argues that the culture of discussion was also popular in the East and especially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The term ‘discussion’ can be found in the Chinese classics,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Korean history book,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numerous Asian classical texts, Korean Annals and history books, and collections of scholar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amine the brilliant culture of discussion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Gyeongyeon’ which was a study site of the monarch, the ‘Ganghoe’ that thickened each other's knowledge through lectures centered on the ‘Seowon’ and a lot of arguments that were exchanged intensely through letters.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discussion lear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was not first introduced through the West and Japan during the flowering period, but was a daily study method that had been generalized for a long time. In our educational tradition, discussions are not competitive, like those found in Western academy, and are concerned with revealing the true meaning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form of communication. And it was to enrich the lives of the discussants in the process of deepening each other's learning, thickening their knowledge, and growing their respect and appreciation for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