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와 관계 탐색 (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relation of learning and teaching in G. Deleuze's philosoph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2.09
25P 미리보기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와 관계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50권 / 3호 / 125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재춘, 배지현

    초록

    이 연구는 들뢰즈의 철학적 논의에 나타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들뢰즈는 「프루스트와 기호들」과「차이와 반복」에서 ‘배움’에 대해 종종 언급하고 있으며,「차이와 반복」과「시네마 2: 시간 이미지」에서는 ‘가르침’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들뢰즈의 배움과 가르침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는 배움을 한편으로는 ‘기호와의 우연한 마주침’에 의해 촉발되는 활동으로 정의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존재가 끊임없이 새롭게 발생되는 ‘이념의 세계에로 탐험’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들뢰즈의 배움은 기호와의 마주침과 이념에의 탐험이라는 두 요소/단계로 구성된 하나의 사이클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도 있다. ① 기호와의 만남을 통해 기존에 현실화되었던 인식틀이 파괴되는 ‘와해’의 단계, ② 이념에의 탐험을 통해 새로운 인식틀이 발생되는 ‘생성’의 단계가 배움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 구조를 바탕으로 한 들뢰즈의 배움은 무한한 차이의 반복을 통해 학습자의 신체와 정신에 새로움이 계속해서 창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들뢰즈는 가르침을 학생과 ‘함께’ 하는 교사 자신의 ‘배움’의 행위로 정의한다. 들뢰즈에게 있어 가르침의 행위는 “나처럼 해봐” 보다는 “나와 함께 해보자”로 표현될 수 있다.「시네마 2: 시간 이미지」에서 들뢰즈는 가르침을 기존의 감각·사유 방식으로부터 빠져나와 강도 높은 차이를 창조하도록 하는 활동으로 규정한다. 들뢰즈 철학에서 추출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교육적 함의를 끌어낼 수 있다. 첫째, 배움은 교사에 의해 이끌어지는 계획적·의도적 행위의 결과라기보다 우연한 계기에 의해 학습자에게 촉발되는 행위이다. 둘째, 가르침은 학습자와 함께하는 ‘교사의 배움의 활동’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교육에 있어서 교사 자신의 배움 활동이 중요하다. 셋째, 새로움의 창조 행위인 배움은 특정한 형태의 배움과 가르침의 관계를 전제하는데, 이 관계에서는 배움이 가르침의 의미를 규정한다는 점에서 배움의 가치와 역할이 가르침의 그것보다 더 우선하고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learning and teaching expressed in G. Deleuze's philosophy. Deleuze uses the word of learning in his works「Proust and Signs」 and「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uses the word of teaching in his works 「Difference and Repetition」and「Cinema 2: Time-image」. First, Deleuze defines learning not only as an activity triggered by an encounter with signs but also as an activity of exploring into the world of ideas where every being is in a constant genesis. Deleuze’s learning, which is described as both an encounter with signs and exploration into ideas, includes a cycle of the following two stages: ① collapse of the existing understanding through an encounter with signs; ② genesis of a new understanding through an exploration into ideas. Deleuze’s learning implies the creation of a newness in the learner’s body and mind through an infinite repetition of difference. Second, Deleuze defines teaching as an activity of learning on the part of teacher with students. An activity of teaching can be well exemplified in his phrases such as "Do with me" rather than "Do as I show". In 「Cinema2: Time -image」, Deleuze also regards teaching as an activity of showing strangeness so that people can come out of their preexisting ways of feeling and thinking. After exploring a new meaning of learning and teaching in Deleuze's philosophy, the researcher drew three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rst,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as an activity triggered inadvertently, not as an activity introduced intentionally or consciously by the teacher. Seco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acher with the student are to be emphasized in the context of teaching. Third, learning as an activity of creating a newness presupposes a special type of ‘learning-teaching relationship', where learning plays a key role, in even defining the meaning of teaching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