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글 ‘칠정례’의 음악적 고찰 (Musical considerations of “Chiljeongrye” in Hangul vers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9.09
25P 미리보기
한글 ‘칠정례’의 음악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9호 / 531 ~ 555페이지
    · 저자명 : 박윤미

    초록

    본 논문은 대한불교조계종의 표준 우리말 의례가 보급화 되는 현 시점에서 기존 한문과 한글 의례문의 선율 비교 분석을 통해 한글화 원칙에 따른 운곡 실행의 방향성 및 불교계의 대응 방안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탈종교화 시대에 따른 현대 사회의 흐름은 불교의식의 올바른 의미와 실천적 태도에 관한 중요성을 야기하였으며 점차 일상 속 생활불교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한글 의례문 보급화에 대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현재 조계종 표준의례로 정식 공포된 한글 반야심경과 칠정례, 천수경 등은 각 사찰의 예불과 여러 불교 행사에 두루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아미타경과 무상게, 법성게 등의 한글화 법안 통과도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한문 독송의 오랜 관습으로 인한 상용화의 한계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한편에서는 우리말 경전과 의식문의 수월해진 접근성을 바탕으로 대중포교 실현을 위한 통일된 운곡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한글 의례에 적용될 새로운 운곡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한글화 원칙에 따른 음악적 기준과 그 올바른 반영여부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글 의례가 지향하는 가사체 형식은 한정되고 비슷한 짜임새의 선율이 반복되는 구조적 한계점으로 인해 자칫 운곡의 획일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한글 가사에 맞춰 단순히 충충 읽어 나가는 최근의 추세를 감안해 볼 때 기존의 형식을 새로운 선율에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운곡 개발에 힘쓰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대중들에게 익숙한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서 새로운 한글의례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려는 한글화의 원칙에 상응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불교 음악적 차원의 전문적인 연구와 지속적인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directionality of practices of melody and lyrics based on th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into Hangul and countermeasures of the Buddhist order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elody between the existing Chinese characters and scripture text, in consideration of today’s situation of which the standard Hangul-based scripture text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s disseminated.
    The trends of the modern-day society based on liberation of religion brought about importance of correct meaning of Buddhist ritual and practical attitude. Besides, the increased values of Buddhism in the middle of our daily life contributed to providing an opportunity of dissemination of Hangul scripture text. At present, the Heart Sutra, Chiljeongrye and Cheonsugyeong, which were officially promulgated as standard scriptures of Jogye Order, are widely used in diverse worship services of the Buddhist temples and Buddhist events. Lately, there is an on-going effort of passage of a bill for transforming of Amitagyeong, Musanggye and Beopseonggye.
    Nonetheless, there still exists limitation of wide use of such scriptures in Hangul caused by the long-standing tradition of recitation in Chines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unified melody and lyrics is gradually emphasized for propagation of Buddhism based on easy accessibility of scriptures in Hangul and ritual text. Therefore, new melody and lyrics, which will be applied to Hangul scriptures, will require musical standards based on principle of transformation into Hangul and necessities of review of its correct reflection possibility.
    There is concern that the Gasa style, aimed by Hangul scripture, can cause standardization of melody and lyrics due to its structural limitation with repetitive melody of restricted and similar arrangement. Moreover, considering today’s trends of simple and fast reading according to Hangul lyrics, it i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a variety of melodies and lyrics by actively applying the existing form to new melodies. Such efforts correspond to th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into Hangul to minimizing opposition against new Hangul scripture by creating emotional empathy familiar to the public, and it is indispensable to carry out professional research regarding the dimension of Buddhist music and show constant interests in th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