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 결정 요인: 시장지향성을 중심으로 (A Determinant of a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ies: Market Orienta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5.12
24P 미리보기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 결정 요인: 시장지향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 수록지 정보 : 로지스틱스연구 / 23권 / 4호 / 65 ~ 88페이지
    · 저자명 : 이수민, 김경순, 민순홍, 허대식

    초록

    환경문제에 대하여 사회 전반의 우려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의 친환경 상품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점차 강화되는 환경 관련 규제는 공급망 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기업들의 규제 준수 관련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높아지는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점차 강화되는 환경관련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이에 수반되는 비용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의 친환경성 뿐만 아니라 높은 품질, 적정한 가격을 모두 갖춘 혁신적 친환경 상품(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체)의 개발이 시급하다. 공급망 전체의 경쟁력이 개별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현 시대 (Gilmore 2006)에 공급망 차원의 친환경 상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개별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개발이 우선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시대에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개별 기업이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을 개발하여야 하며, 이러한 역량은 기업의 시장 지향적 문화를 바탕으로 개발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시장지향성을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기능 간 조정의 세 가지 차원성으로 구분한 후,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이 기능 간 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능 간 조정은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한다. 또한 기능 간 조정은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과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 역량 간 관계를 매개함을 제안한다. 총 93개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한 가설 검증 결과, 기능 간 조정은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은 물론,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과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는 공급망 내의 전통적 주요 이해관계자인 고객 및 경쟁자로부터 적극적으로 시장 정보를 획득하여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이 친환경 맥락에서도 핵심 성공요인임을 새삼 일깨워준다. 또한 공급망 내 이해관계자들로부터 획득한 시장정보는 기업 내 이해관계자인 관련부서 간 의견교환을 통해서만 기업의 역량으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급망 전체의 친환경 상품 개발은 결국 공급업체의 역량에 의존함을 감안하여 공급업체 선정 시 그 업체의 친환경 상품혁신 개발 역량을 평가함은 물론 그 선행 조건으로써의 시장지향성 정도를 평가하여야 함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As environmental issues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concern, consumers have increasingly demanded eco-friendly or green products at reasonable price. In addition, ever stricter environmental regulations push up firm’s costs for environmental conformance. To cope with ever-increasing consumer’s complex needs and cut conformance costs at the same time in the course of maintaining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supply chain partner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the age of supply chain vs. supply chain competition, it is ideal to develop supply-chain-wide capability for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reality, however, a supply chain as a whole cannot do so without accumulating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of each partner. Therefore, we focus on theorizing and empirically testing potenti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individual supply chain partner’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specific, we suggest a firm’s market orientation as a critical prerequisite for it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development. Specifically, we propose that the firm’s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should precede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that is a critical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to absorb green product innovation information. In turn,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is a key contributing process for the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is one of the seminal studies that examines the role of market orientation in developing a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empirically proves the three dimensions of market orientation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market orientation, and empirically validated that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should be followed by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