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K-pop의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중국 대도시 젊은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for Cultural Management Cooperative System of K-pop: Through Perception of Chinese Urban Youths about K-pop)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2.09
39P 미리보기
K-pop의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중국 대도시 젊은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26호 / 33 ~ 71페이지
    · 저자명 : 전형연, 송기란

    초록

    K-pop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신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K-pop의 열풍은해당 가수와 기획사뿐만 아니라, 국가 및 기업이미지까지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서 K-pop과 관련된 연구들은 K-pop과 소비자의 관계,K-pop 경험을 통한 국가 및 기업 이미지와의 관계 등 문화경영의 각 주체 사이의일방향적인 관계를 마케팅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왔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K-pop 을 중심으로 문화경영의 각 주체들 사이의 전체적인 협력관계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한류문화의 지속적인 발전과 문화브랜드로서의 정착을 위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을구조를 수용하면서 아티스트, 공중, 결정권자, 매개자 등의 4대 주체에게 필요한문화경영 항목을 도출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 가능성이 무한한 K-pop 소비시장인 중국 시장의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서술적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결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각 주체 중 아티스트 차원에서는 가수 개인의역량과 음악콘텐츠가 가지는 경쟁력, 대중문화 속성상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한재생산성 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퍼스널 브랜드 관리, 음악적역량 관리, 가수와 기획사 관계, 타 문화장르와의 관계 항목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공중 차원에서는 K-pop을 소비하는 공중에 대한 소비자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데이터화하는 작업이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중의 유형화 관리, 문화적 취향 관리, 선호 문화장르 관리, 주요 활용 매체관리 등의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국가, 기업 및 연예매니지먼트 기획사 등 결정권자 차원에서의 주요 특성 항목으로는 기획사 매니지먼트 관리, 기업 브랜드 관리, 국가브랜드 관리 등이 주요 항목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개개의 기관 차원에서 보다 각 기관이 서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적 통합관리가 중요함을 역설해주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K-pop 등의 문화를 전달해 주는 매개자 차원에서는 미디어 매개자 관리, 콘텐츠 매개자 관리, 주변인 매개자 관리 같은 주요한 특성 항목을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4대 주체 사이의 협력관계 구조의 핵심을 파악하고 이의 도식화를 시도하여향후 한국형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영어초록

    Currently, K-pop is sweeping over the world with the New Hanwave (New Korean Wave), and K-pop fever is not only positively influencing the singers and their entertainment agency, but also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s well. With this phenomena, K-pop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dealing with uni-directional relationship among four element groups in marketing perspective, for example, studying relationship between K-pop and consumers, and correlations between K-pop and the government and corporate images. However, at this point, it is imperative to have cultural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that can facilita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anwave culture and cultural brand settlement by understanding the comprehensiv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through K-pop.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generate and classify cultural management items that are necessary to four element groups -artists, public, deciders, and mediators-,while accepting the ‘cultural management system’ from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ly,using narrative questionnaire, the current study surveyed young consumers in China where extensibility of K-pop consumption is infinitive. The consequen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study.
    Before everything els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competence of the individual, the competitiveness of music contents, and the reproductivity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genr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ems were generated pertaining to management of personal brand, management of musical competence,relationship between the singer and the agency, and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al genre.
    In terms of public,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gather data and keep up with consumer analysis related to publics who consumes K-pop. Based on these results, items were generated for public typology management, cultural tastes management,preferred cultural genre management, and major applicatory media management. Moreover,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deciders -nation, corporation, and entertainment agency- included managing agency management, management of corporations brand management, nation brand management, and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ese major items emphasized how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at maximizes the synergy between each organization is important compared to each organization itself. Lastly, in terms of mediators that deliver K-pop culture, major items such as media mediator management, contents mediator management, and peer mediators management were gener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and schematize the core relationship structure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ies that will research on Korean cultur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