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기의병기 호남지역 민중층의 의병 참여와 ‘民’ 출신 의병장에 대한 기억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of the Common People and the Memory of Commoner Righteous Army Leaders from 1907 to 1910)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5.06
34P 미리보기
후기의병기 호남지역 민중층의 의병 참여와 ‘民’ 출신 의병장에 대한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98호 / 83 ~ 116페이지
    · 저자명 : 김항기

    초록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던 시기, 전국적으로 전개된 의병항쟁은 단순한 무장 투쟁을 넘어, 민족의 자주성과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전민족적 저항 운동이었다. 특히 후기 의병기에 접어들면서, 의병의 구성과 참여 계층은 양반 유생 중심에 서 농민, 상인, 노동자 등 민중 중심으로 뚜렷하게 변화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후기 의병에서 민중 계층의 실질적 참여 실태와 그 역사적 의미를 정리하고, 그 중심에 있었던 민 출신 의병장 안규홍에 대한 후대의 기억과 기념 양상을 담산 실기와 문학작품, 그리고 이후 문화 기념 활동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민중의병 의 사회적・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먼저 민중층의 의병 참여 실태를 검토해보면, 농업(54.33%), 상업(11.93%), 노동(2.14%) 등 직업 계층이 전체 의병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후기 의병항쟁이 단지 양반 유생의 정치적 저항에 머무르지 않고, 일제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수탈과 폭력에 직접 노출된 민중들이 생존을 위해 실천한 저항이었음 을 보여준다. 지역적으로는 전라도가 전체 참여자의 44.75%를 차지하며, 특히 농업과 상업 계층의 활발한 참여는 호남 지역이 민중 중심 의병항쟁의 거점이었 음을 시사한다.
    민중층의 항쟁 방식은 단순한 전투를 넘어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주막 업에 종사한 상인들이 일본군의 동태를 전달하거나 의병들에게 식량을 제공하 며, 정보 및 군수 거점의 역할을 했던 점은 의병항쟁에서 민중이 단순한 보조가 아닌 실질적인 주체였다는 것을 입증한다. 특히 머슴 출신으로 호남 지역에서 활약한 안규홍은 이러한 민중 의병의 상징적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조직력과 실천력을 바탕으로 수많은 의병을 이끌고 실제 전투를 수행하였으며, 그 활동은 단지 전투 기록에 머무르지 않고, 후손들과 유림에 의해 기록된 『담산실기』를 통해 서사적 기억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처럼 담산실기의 기록은 동소산의 머슴새라는 문학적 기억과 이미지로 확장되고, 다시 이 기억은 연극, 추모제, 지역 행사 등 다양한 기념 형식으로 이 어졌다. 이 과정을 통해 안규홍은 하나의 역사적 인물에서 지역사회의 ‘공통된 기억’으로 재구성되었다.
    즉, 민 출신 의병장에 대한 기억은 의병항쟁의 주체를 양반 유생에서 민중으 로 확장시킨다. 이는 단지 구성원의 변화가 아니라, 항쟁의 성격과 동력 자체를 바꾸는 근본적인 전환이다. 결론적으로, 안규홍에 대한 후손의 기억과 다양한 기 록 및 문화적 기념은 한국 근대사에서 민중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의병항쟁을 보다 포괄적인 민족 저항의 역사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intensified period of Japanese aggression, the nationwide Righteous Army resistance emerged not merely as an armed struggle, but as a collective national movement to preserve Korean autonomy and identity. In the later phase of the movement, the composition of the militias shifted significantly—from yangban Confucian scholars to commoners, including farmers, merchants, and laborers.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ower classes in the late Righteous Army period, with a focus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ir involvement. Central to this exploration is Ahn Gyu-hong, a militia leader of peasant origin, whose legacy is preserved in the historical text Damsan Silgi, literary works, and modern commemorative activities.
    Statistical records show that over 54% of participants came from agricultural backgrounds, with additional representation from commerce and labor. Young men in their 20s and 30s formed a large portion of the resistance. This reflects how the Righteous Army, particularly in its later phase, became a grassroots movement driven by people directly affected by colonial exploitation and violence. Geographically, the Honam region was a major hub, accounting for nearly 45% of participants, especially among farmers and merchants. Commoners engaged in the struggle in multifaceted ways—beyond combat. Tavern owners and merchants played crucial roles by supplying food, sharing intelligence, and acting as logistical hubs. Far from being mere supporters, these individuals were central actors in the resistance.
    Ahn Gyu-hong, a former farmhand from Honam, symbolizes this shift. Renowned for his organizational and leadership skills, he led numerous battles against Japanese forces. His life and contributions are recorded not only in military records but also in Damsan Silgi, compiled by his descendants and Confucian scholars. Over time, his story evolved into cultural memory, as seen in literary reinterpretations such as The Farmhand of Dongsosan, and in regional commemorative practices like plays, memorial rites, and local festivals.
    These acts of remembrance have transformed Ahn from a historical figure into a symbol of collective identity. The memory of a commoner militia leader challenges the traditional elite-centered narrative, highlighting a fundamental shift in the nature and agency of the resistance. Ultimately, the legacy of Ahn Gyu-hong helps redefine the role of the common people in Korea’s modern history and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Army as a comprehensive national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