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官人層의 임종 장소와 그 변화상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the Death Places of Goryeo Bureaucrats' Familie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5.12
27P 미리보기
고려시대 官人層의 임종 장소와 그 변화상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2호 / 67 ~ 93페이지
    · 저자명 : 박진훈

    초록

    고려시대 묘지명을 분석한 결과, 고려시대 관인층이 사망한 장소는 크게 집과 사찰 두 곳으로 압축된다. 전체 329건의 묘지명 중에서 사망 장소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143건이며, 이 중 집에서 사망한 경우는 122명, 사찰에서 사망한 경우는 21명이다. 이를 시대별로 분석하여 보면, 무신정변이 일어나는 의종대까지 고려의 관인층은 전체 111건 중에서 집이나 사찰에서 사망한 사람이 55건이며, 이 중 집에서 36명, 사찰에서 19명이 사망하였다. 집에서 사망한 사람이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대략 5~4명에 1명꼴로 사찰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반면 무신정권기에는 사망 장소가 확인되는 47건 중 2명만이 사찰에서 사망하였다. 충렬왕대 이후에는 사망 장소가 확인되는 41명 모두 집에서 사망하였다.
    고려 관인층은 의종 12~13년에서 명종 15년 사이에 더 이상 사찰에서 죽음을 맞이하지 않게 되었으며, 세속적 장소인 집에서 임종을 맞는 관습이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발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무신정변의 발생으로 개경의 많은 사찰들이 커다란 피해를 입었다. 정변 이후에도 사찰 및 승려들은 계속해서 무신정권과 갈등을 빚었으며, 정변 발생 이후 치안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개경 근처의 사찰들은 도적들의 습격을 받았다. 이에 따라 사찰은 요양을 하거나 안온한 죽음을 맞기에는 더 이상 적절한 장소가 아니었다.
    따라서 사찰에서 임종하는 고려 관인층이 무신정변을 기점으로 급감하게 되었으며, 사찰에서 임종하는 것을 회피하는 풍조가 무신정권 내내 상당 기간 지속되면서 보편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유교적인 관념이 강화되고 유교적 상장례에 대한 의식이 성장하면서, 사찰에서 임종을 맞아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합리화되고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고려후기에는 독실한 불교신자라고 하더라도 사찰이 아닌 세속적 장소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삶과 죽음에 대한 고려 관인층의 생각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영어초록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omb inscriptions from the Goryeo Dynasty, the death places of Goryeo bureaucrats' famili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heir houses, and temples. Breaking it down by era, there were 111 members of Goryeo bureaucrat families buried before the Musin Jeongbeon (a coup d'etat by soldiers), of which 55 had their death places specified: 36 had died at their house, and 19 at the templ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47 people who had died under the soldiers' reign and whose death places could be identified, only 2 bureaucrat family members had met their death at the temple. After King Chungyeol, all 41 bureaucrat family members with specified death places had died in their own home.
    The reason for this change was as follows: when the Musin Jeongbeon coup broke out, many temples in Gaegyeong - the capital of Goryeo - suffered huge damages. Even after the Jeongbeon, temples and monks maintained serious conflicts with the governing soldiers. Therefore, temples were no longer an appropriate place to seek health treatment or peaceful death.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Goryeo bureaucrat family members who chose to die at the temple drastically decreased after the Musin Jeongbeon, and the tendency to avoid dying at the temple remained prevalent among bureaucrats' families long after the Jeongbeon.
    Furthermore, as Confucian ideologies were emphasized and their funeral rituals grew, the idea that death should not be met at the temple seems to have been rationalized and strengthened. Therefore, although bureaucrat family members were devoted Buddhists, it became generally accepted among them that death should be met in a secular place rather than at the temple. This change seems to have had an influence on Goryeo bureaucrat families'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in the long r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