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지식인층의 문화한류 해석과수용관점 추이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n Cultural Korean Wave in China’s Intellectua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중국 지식인층의 문화한류 해석과수용관점 추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37호 / 787 ~ 816페이지
    · 저자명 : 박영환

    초록

    중국에서의 한류열풍을 언급할 때 종종 간과하는 것이 있다. 일본 혹은 타이완 등은 거의 방송국에서 상업적인 면만을 고려하여 한류드라마의 수입을 결정해왔다면, 중국에서는 정부 유관부서인 광전국(广电局)이 일체의 허가권을 가지고 있으며, 수입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상업적인 요인보다는 정치적인 요인이 절대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다. 이 문제는 현재 한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배치 문제로 촉발된 한‧중간의 외교갈등으로 인한 한한령(限韓令, 한류금지령)을 통해서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1997년 <사랑이 뭐길래> 드라마의 열풍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20년간, 중국 정부와 언론, 중국학계를 비롯한 지식인층에서는 한류열풍을 어떤 관점으로 인지하고 해석하고 있을까? 이 문제에 관한 사고는 문화의 전파와 수용, 그리고 수용자의 지연문화와도 관련된 문제로 미래에 대한 예측가능성과도 연결되는 문제이기에 중요한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
    1997년에서부터 2005년 <대장금>의 중국열풍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중국지식인층들은 한류열풍의 원인을 문화전통이 유사한 유교 문화권역을 배경으로 하는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 요인에서 찾았다. 하지만,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전후로 하여 중국내의 국가주의 대두와 맞물리면서 한류열풍이 “유학의 보은(儒学的反哺)”으로 작용했는지의 여부에 대한 논쟁을 불러왔다. 아울러 중화민족주의 시점에서 한류열풍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2010년 이후, 더욱이 2013년에 방영한 <상속자들>과 <별에서 온 그대> 드라마가 중국 및 아시아 각국에서 크게 유행한 이후, 중국학계 및 지식인층에서는 이전처럼 감성적으로 유교문화와의 동원성을 강조하는 대신, 다소 객관적, 이성적, 논리적으로 한류열풍이 중국 내 20여년간 지속한 이유와 원인분석에 치중하고 있다. 중국에서의 한류드라마 열풍이 전통유산을 활용하여 아속(雅俗)이 공상(共賞)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베이징대 장이우(张颐武) 교수의 주장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그러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When the fever of Korean wave is mentioned in China, something important is often ignored. Broadcasting stations in Japan and Taiwan almost only considered the commercial parts and made decisions by the incomes from Korean wave dramas. However, in China, State Administration of Press, Publication, Radio, Film and Television of The P.R.C managed by government holds all the permissions and the importation is decided significantly by political factors much more than commercial factors.
    From the fever of Korean drama What On Earth is Love in 1997 to Daejanggeum(A Female Chef in Korean Palace) in 2005, most of Chinese scholars have defined the cause of Korean fever as the cultural proximity based on similar traditions and Confucian culture, and also draw the controversial issue that whether the fever of Korean wave was effected by Confucianism’s Regurgitation-feeding. However, the background of producing Korean dramas in Korea is quite different. It is the formality of ‘pursuing anti-tradition from tradition’. Since IMF National bankruptcy in 1997, Korean wave dramas were born in the self-reflection on the inordinate developmentalism along with the flow of anti-tradition, anti- Confucianism and anti-Male in Korean society. Such cultural phenomenon is very interesting. It seems that the desire of Revival fever in China, to establish traditional ethical viewpoint through the restoration of Confucian culture and regional cultural discrepancies between Korea and China, influenced the viewpoint of culture acceptance. Of course, there are not a few opinions that excluded Korean wave dramas blisteringly from the cultural nationalism viewpoint. Since the arguments of the Dano Festival between Korea and China got deepened at the end of 2005, the phenomenon of disliking Korean wave became one catalyst. Around 2008 Beijing Olympic, the nationalism peaked in China. Hence Chinese preferences of Korean wave went into different ways.
    Since 2010, especially the great success of the Heirs and A Man from Another Star in 2013, China’s academia has been mor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reasons and causes that made Korean wave fever last for 20 years in China through the somewhat objective, rational and logical ways instead of emphasizing homogeneity with Confucianism culture emotionally like before. It is very persuasive for the opinion by Pro. Jang Ieewoo, Beijing University, that Korean wave drama fever made the culture be shared together through traditional heritage. At least, superficially it was because of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