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軍威 持寶寺 三層石塔에 대한 考察 (A Study o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Gibosa-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軍威 持寶寺 三層石塔에 대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6호 / 51 ~ 77페이지
    · 저자명 : 신용철

    초록

    본 논문은 지보사 삼층석탑이 한국 탑파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통해 그 중요성을 파악해 보고자한 것이다. 이 석탑의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면, 신라탑의 요소와 고려탑의 요소가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신라탑의 요소가 기본을 이루는 가운데, 고려초기부터 새롭게 석탑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표현들이 등장한다. 따라서 각각의 요소들을 객관화하여 분석한 결과 탑은 10세기 중반경에 건립되었다고 추정된다.
    특히 표면 부조상으로 등장하는 사자상과 팔부중상이 눈에 띠는데, 사자상이 새겨진 탑으로는 본 석탑과 보원사지 오층석탑 밖에는 없다. 또한 팔부중상은 전통적 배치형식에서 변화한 방식이며 도상의 성격도 탑을 지키는 신장의 개념이 강화된 侍衛形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2가지를 조합했을 때 경주지역의 팔부중석탑 보다는 강원일대의 양식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비슷한 도상을 보이는 다른 2기의 석탑과 비교했을 때 가장 늦은 시기에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본다면, 지보사 삼층석탑은 8세기 신라석탑에서 시작한 전통적 좌상의 팔부중이 나타나는 마지막 탑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인물의 세부표현까지 정교히 묘사한 점은 입상과는 다른 좌상 팔부중의 도상이 얼마나 정확히 전승되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석탑을 마지막으로 전통적 팔부중의 도상은 단절된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장인집단의 소멸 혹은 신라석탑에 비해 부조상을 선호하지 않았던 고려석탑의 특징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계사 석탑, 보원사지 석탑, 지보사 석탑 등 3기의 석탑에서 나타나는 팔부중상의 조각과 도상에서는 밀접한 유사성을 보이는 것에 비하여 탑의 특징에서는 유사성이 약하다. 이는 탑을 건립하는 장인과 조각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장인 사이에 구분이 있었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어 향후 이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stress the importance of Gibosa-Temple’s three-story stone pagoda by examining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pagodas. A close look at the stone pagoda’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reveals that the elements of Silla pagodas are mixed with those of Goryeo pagodas. Basically, the elements of Silla pagodas make up the basics of the pagodas while new expressions can be found from the pagodas from the early Goryeo times. Therefore, the result of analyzing and objectifying each different element leads to the assumption that the stone pagoda was built about in the mid-10th century.
    The lion sculptures and the sculptures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are especially remarkable as surface relief sculptures; this stone pagoda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Bowonsa-temple site are the only cases with lion sculptures. Again, the sculptures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are modifications from the traditional arrangements, and their iconography is presented in the form of guards, which is a strengthened form of the divine warriors that protect Buddhist laws. When these two facts are combined, it is possible to assert that this stone pagoda is the product of accepting the styles of Gangwon-Province area rather than those of the sculptures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n Gyeongju area. Compared to the other two pagodas with similar iconography, it is highly likely that this stone pagoda was built the latest of the three. In this sense, the Gibosa-Temple’s three-story stone pagoda can be the last pagoda with the relief sculptures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which started with the 8th-century Silla stone pagodas as the seated sculptures. The detailed expressions of the figures on the stone pagoda show that the iconography of the seated sculptures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were handed down without changes unlike the standing sculptures. However, the iconography of the sculptures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died out with this pagoda as the last one. The reason is not clear, but the possible explanations can be sought in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stone pagodas in which they did not prefer relief sculptures.
    Lastly,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 have little similarity with other pagodas whil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hingesa-temple’s stone pagoda and the one at Bowonsa-temple site in terms of iconography and the sculptures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t suggests that different sculptors worked on the pagodas and their relief sculptures separately, and further detailed studies are needed in this reg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