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level for old age of the middle-age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08.12
28P 미리보기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19권 / 55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양이, 이채우

    초록

    급변하고 있는 고령화시대에 중년층들이 자신의 노후생활 준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닥쳐올 노년기를 준비하기 위해서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준비를 체계적으로 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한 중년기의 과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년기를 준비해야 하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정도를 파악하고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노후준비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도농 및 소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층 4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가 보고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노후계획수립의 유무로서 노후계획수립이 된 사람은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노후준비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수입, 학력, 연금혜택 유무, 시설입소의사 등도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모두 경제력과 관련된 변수로서 현실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만 노후준비를 잘 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셋째, 종교의 유무가 정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서적 안정감이나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이 노년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맞이하도록 지지할 것이라는 신념 때문으로 사료된다. 넷째, 성별과 배우자 유무, 연령 등도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경제적, 정서적 노후준비를 잘 하고 배우자가 있는 자가 총체적으로 노후준비를 잘 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후 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세심하고 준비성이 강하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도 여성의 준비성 때문으로 보며 연령은 노년기에 가까워져야 노인이라는 인식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대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노후준비는 중년기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가족이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족차원의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중년기를 대상으로 노후준비를 위한 사회복지적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과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지식의 체계적인 보급이 필요하다. 즉 노후준비를 위한 소득창출방법 및 재정관리,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 사회적ㆍ가족적 역할상실로 인한 여가활용방안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성별, 연령별, 지역별, 선호도별로 사회복지기관이나 사회단체에서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노년기에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노년기 생활에 대한 준비는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서비스 이용자들의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을 충분히 예측하여 반영하는 수준에서 연구ㆍ개발되고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2~30년 후의 후기산업사회는 초고령사회가 예상된다. 그 시대에 사회의 주류를 이룰 노인들의 삶이 청ㆍ장ㆍ중년기의 삶을 충분히 보상받고 자아통합을 이룰 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태도와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영어초록

    In this rapidly changing aging society, the recognition toward one's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middle-aged is increasing. Systematically preparing physical, emotional, and financial arrangements for the approach of senescence is a very important task of the middle-ag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middle-aged people and to clarify factors that influence it in order to investigate desirable plan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s done among 480 middle-aged Iksan city citizens between 40~60 years ol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The following are analysis results.
    First, the most influencive factor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middle-aged was whether the person had established a plan for his/her senescence. Those who already had a senescence plan were doing well in preparing physically, emotionally, and financially. Second, other factors that affected preparation for old age were monthly income, academic background, benefits from pension system, and the intension to enter an institute. These were all related to economic power, and is interpreted that practically a certain financial leeway was required to prepare well. Third, whether a person had a religion influenced the emotional preparations for old age. This is considered to be from the emotional stability or faith toward afterlife supporting people to accept senescence more steadily. Fourth, gender, life partner, age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Women tended to be more successful in financial and emotional preparations. Those with a life partner were generally better than those that were single. Preparations improved as age increas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women are more prudent and ready than men. Results of people with a life
    partner being better also is considered to be caused from the women's readiness. As for age, the recognition of being an old aged person gets higher as age draws closer to senesc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for preparing old age of the middle-aged were proposed. First, preparing for old age should be started in full-scale since the middle age. The family should make plans together and measures that can be practiced by the whole family are required. Second, development of programs in social welfare and a systematic replenishmen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hould be presented to middle-aged people. That i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methods for creating income, financial management, health control, disease prevention, measures for using spare time created from loss of social, familial roles can be developed in gender, age, region, and preference by social welfare institutes or social groups. This would help carry on their own lives independently and actively manage them in the old age. Third, preparation for old life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at a level that predicts and reflects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and assortment of service users thoroughly from a future-oriented viewpoint. The post-industrial society 2~30 years from now on is expected to be a super-aged society. An attitude and effort of active preparation by individuals, family, society, and the government are demanded so that the elderly people who would become the mainstream of that era are compensated for their young, middle age lives sufficiently, and that they can lead on their lives being able to accomplish self-coord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