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노년층과 청년층의 호흡-삼킴 협응의 시간적 특성 비교 (Comparison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of Respiration and Swallowing Coordination between Young and Elderl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9
18P 미리보기
한국 노년층과 청년층의 호흡-삼킴 협응의 시간적 특성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26권 / 3호 / 641 ~ 658페이지
    · 저자명 : 서해니, 최성희, 이경재, 최철희

    초록

    배경 및 목적: 삼키는 동안 호흡-삼킴의 관계는 매우 역동적이며 기도를 보호하기 위해 매우 시간적 타이밍과 협응이 요구된다. 특히 삼킬 때 기도를 보호하는 능력은 노화에 따라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년층과 노년층의 호흡-삼킴 패턴과 호흡-삼킴의 협응에 따른 시간적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청년 40명, 노인 40명 총 80명의 정상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호흡 및 삼킴의 협응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5 mL 물 삼키기 검사 중 digital workstation™을 사용하였다. 호흡-삼킴 협응과 관계된 시간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음향 신호 시작(AS), 음향 신호 정점(AP), 음향 신호 지속시간(AD), 삼킴 무호흡 시작 혹은 호흡정지 시작(SAS), 삼킴 무호흡 지속시간 혹은 호흡정지 지속시간(SAD), sEMG 지속시간(sED), sEMG 시작(sES), 표면 근전도 정점(sEP), 표면 근전도 지속시간(sED)을 측정하였으며, 삼킴 곤란 정도에 대한 자가평가를 위해 삼킴장애지수(DHI)를 측정하였다.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삼킴과 관련된 음향 신호 측정치와 삼킴 무호흡 측정치, 표면 근전도 측정치가 지연되었고 삼키는 동안 삼킴과 관련된 구조들의 순차적인 협응 시간의 지연을 보였지만 성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K-DHI 총점과 호흡-삼킴 협응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를 통해 노년층의 K-DHI 총점과 삼킴 무호흡 지속시간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노년층의 경우 청년층과 비교 하였을 때 호흡 삼킴 협응의 시간적 타이밍 지연 및 삼킴 패턴의 변화는 삼킴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노화로 인한 삼킴 지연은 노인삼킴장애를 분류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삼킴 시 무호흡 시간이 증가하는 것은 노년층의 기도보호를 위한 기제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하지만, 노인층의 무호흡 시간과 K-DHI 점수의 높은 상관성은 노화로 인한 호흡기능의 저하가 나타날수록 삼킴동안 호흡 정지를 오래 유지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사레걸림과 같은 증상을 경험할 위험성이 높아지고 주관적 삼킴장애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병리적 삼킴장애가 없는 정상 노인으로 분류된다 할지라도 삼킴과 관련된 능력이 저하된 노년층을 대상으로 삼킴장애 예방과 삼킴 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thing and swallowing is very dynamic during swallowing and these are highly temporally coordinated to protect the airway. The ability to protect airways during swallowing deteriorates with aging.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mpare the breathing-swallowing pattern and temporal change in the respiration and swallowing coordination between young and elderly adults in Korea. Methods: A total of 80 normal people, including 40 young and 40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measurement of breathing and swallowing coordination, Digital Swallowing WorkstationTM was used during a 5 mL water swallowing task. Temporal parameters related to breathing swallowing including AS (acoustic start), AP (acoustic peak), AD (acoustic duration), SAS (swallowing apnea or respiration pause start), SAD (swallowing apena duration), sES (sub mental sEMG start), sEP (submental sEMG peak), sED (submental sEMG duration). Additionally, DHI (Dysphagia Handicap Index) was evaluated for self-assessment of the degree of difficulty swallowing. Results: Older adults displayed delayed swallowing-related acoustic signal measurements, swallowing apnea measurements, surface EMG measurements, and delayed sequential coordination time of swallowing-related structures during swallow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urthermo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otal K-DHI scores and as well as swallowing apnea duration in the elderly. Conclusion: In the older population, the different breathing-swallowing pattern from that of young adults may increase the risk of dysphagia. In addition, swallowing delays due to aging can be an indicator of elderly swallowing disorders. Moreover, an increase in apnea time during swallowing may be a phenomenon that appears as a mechanism for airway protection in the elderly. However,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apnea time and K-DHI score in the elderly may make it difficult to maintain respiration for a long time during swallowing as the respiratory function decreases due to aging,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experiencing symptoms such as choking and affect the degree of subjective swallowing disorder. This suggests that even if classified as a normal elderly person without a pathological swallowing disorder, swallowing training is needed to prevent swallowing disorders and to enhance swallowing ability for older people with degraded swallowing-related 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