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성신화의 변화와 치유 – 울리츠카야 작품에 나타난 모녀 관계를 중심으로 (The Change of the Maternal Mythology and the Overcoming of Matrophobi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9.12
28P 미리보기
모성신화의 변화와 치유 – 울리츠카야 작품에 나타난 모녀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31권 / 4호 / 99 ~ 126페이지
    · 저자명 : 양영란

    초록

    본 논문의 목표는 울리츠카야 작품 속에 나타난 모성 신화의 변화를 살펴보고, 고통 받는 모성을 치유하고자 사용하고 있는 작가의 글쓰기 전략은 무엇인지 고찰하는 것이다.
    러시아현대작가 울리츠카야의 작품 속에서 현실의 고통을 가장 치열하게 느끼는 등장인물은 주로 여성, 그중에서도 누구보다 어머니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페미니즘 관점에서 모녀 관계는 중요한 쟁점이 된다. 인내하는 어머니의 가르침으로부터 순종적인 딸이 세뇌된 ‘관습적 모성’을 습득하고 이것을 다음 세대에게 다시 대물림시키는 것이야말로 가부장제를 지탱해온 안정적인 내조이며 동시에 여성들에게 강요되어온 개인적, 주체적, 자발적 희생이다.
    독자는 울리츠카야의 작품 속에서 치열한 페미니즘 모성담론의 비판을 읽어내기보다 참담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그 힘든 현실을 살아내는 어머니로서, 딸로서의 여성들을 만나게 된다. 작가는 모성 담론에 대한 재평가의 필요성과 변화의 노력을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사고함과 동시에 전통적 모성 가치를 부정하지도, 새로운 시대의 딸들의 해방과 자유만을 위해 투쟁하지도 않는다. 현실을 살아내는 모든 어머니와 딸의 형상들을 존중하며 오직 그들의 삶이 해피엔딩으로 그려지길 바라는 작가의 마음이 마술적 사실주의(magical realism) 기법을 통하여 반영된다. 독자는 울리츠카야 작품에서 모성신화의 변화와 그 치유, 혹독한 시대를 살아가는 어머니와 딸의 인생에 대한 위로와 희망을 읽게 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maternal mythology and introduce a narrative strategy for overcoming matrophobia focusing o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L. Ulitskaya.
    Ulitskaya illustrates domestic tragedy for women in the post-Stalinist era. Underemployed and often receiving little to no help from their husbands, her heroines demonstrate the ongoing struggle to care for children while surviving abuse and other dangers when living on the brink of personal destruction.
    From a feminist viewpoint,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issue. In many cultures, daughters are brainwashed to acquire a 'traditional sacrificed motherhood' from their mother and pass it on to the next generation. It is a stable belief that has been imposed on women and has maintained patriarchal societies around the world.
    In Ulistskaya, readers meet mothers and daughters who go through hard times. The author constantly talks about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discourse about motherhood and bringing forth women with a newly developed free spirit. She does not deny the value of traditional maternal sacrifice and she does not struggle only for the liberation and freedom of the daughters of the new era. She does acknowledge that tradition has beneficial aspects but that change is needed in how women see themselves in the modern world.
    She respects all mothers and daughters who went through hard times and wishes their lives to end happily. This is reflected through her narrative strategy - magical realism. Ulitskaya chooses to deal with the perpetual ideological crisis of women being subjugated by society by writing in the genre of magical realism with its focus on the inner world of human experience. The goal of her magical realism offers the disillusioned Russian women a new vision as a way to deal with the painful but real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 The reader experiences the change in maternal mythology, its healing, and the comfort and hope for the lives of mothers and daughters living in harsh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