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tual and Ideal Self-Congruence on Brand Loyalty: The Mediating Role of Brand Attitude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2.08
21P 미리보기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의 매개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19권 / 4호 / 283 ~ 303페이지
    · 저자명 : 유순근, 김근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의 매개작용,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성, 그리고 기능적 일치성의 수준에 따른 차이를 밝혀냈다. 연구결과 실제적 자아일치성이나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강한 긍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자아와 일치하는 브랜드일수록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더 크다. 실제적 자아일치성이나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브랜드 태도는 부분매개로 작용하나, 정서적 브랜드 애착은 완전매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적 크기는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실제적 자아일치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브랜드 태도 관계에서 기능적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표적 소비자의 실제적 또는 이상적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는 정서적 브랜드 애착이 완전매개로 작용한다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During the research into the product concept, there is more emphasis into the ways of improving consumer’s brand loyalty due to self-congruence as the increase of imitation goods limit the success of differentiating the core benefits of the product. A consumer chooses a produc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s image and oneself in order to improve and express themselves. Consumers who find an emotional attachment to a brand show favourable attitudes to the brand and result in brand loyalty. Although there has been numerous researches into how multidimensional self-congruence can improve the prediction of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and how brand attitude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results in repurchase, there has yet been a model combining the factors listed.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congruence has to brand loyalty,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itude towards the emotional brand attachment, the functional congruity, as well a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actual self-congruence and ideal self-congruence has to brand attitude and the emotional brand attach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tual and ideal self-congruence to brand attitude. As the brand became more self-congruent, this increased its influence on brand attitude and the emotional brand attachment. Consumers were found to favour a brand that either maintains or improves one’s image through self-congruency. In addition, consumers show positive attitudes and emotional attachment to brands whose image can enhance oneself as well as promoting one’s identity through self-esteemed motives. As a result, consumers were found to be more loyal to brands whose image has high self-congruency with the consumer.
    Despite there only being a partial mediation between brand attitude and the effect of actual self-congruence or the ideal self-congruence toward brand loyalty, there existed a full mediation towards the emotional brand attachment. Thi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otional brand attachment of a consumer and brand loyalty, and augments the argument that a strategy is needed of finding a brand identity that increases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 to the brand in order to secure and retain customers.
    Although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lf-congruence to brand attitude was greater for the ideal than the actual, this was not supported statistically as its effect to emotional brand attachment was not significant. Emotional attachment was seen to be affected by the strength of the bond between product and consumer. As ideal self-congruence has a stronger effect to brand loyalty than actual self-congruence, it is important to factor in the consumer’s ideal self-congruence through product elements or explicit quality cues during the research into the concept or the positioning statement of a symbolic product.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functional congruence modear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gruence and brand attitude or brand attachment, a multi-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whereby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nough to support the argument.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a brand which has a brand personality which matches the consumer’s actual or ideal self-congruence increases the emotional brand attachment, as well as revealing the existence of a full mediation between the ideal self-congruence and brand loyalty driven by the emotional brand attachment.
    This research does not consider the differences of symbolic, luxury, practicality and distribution channels between products. In addition, demographic,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were also not taken into account. It is the writer’s belief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reaction to ideal and actual self-congruence to products with strong symbolic attachments, practicality and product category will give a meaningful result to the direction of the correlation and its strength.
    By researching the effects of the self-congruity on brand attitude and emtotional brand attachment integratedly,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magnified to point out the direction for research into consumer’s behavioral reponses and brand loyal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