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忠湛(869~940)의 생애와 활동 (Choongdam(869~940)’s Life and Activ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0.04
39P 미리보기
忠湛(869~940)의 생애와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18호 / 191 ~ 229페이지
    · 저자명 : 정동락

    초록

    忠湛은 869년(경문왕 9)년 武州에서 태어났다. 그는 880년(헌강왕 6) 부친과 친분이 있던 長純선사에게 출가하였다. 그리고 889년(진성여왕 3) 무주 靈神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이후 武州의 松溪禪院에서 머물던 審希(855~923)를 찾아가 수학하였다. 892년(진성여왕 6) 경 甄萱의 무주 점령으로 인한 전란을 피해 심희와 함께 雪岳으로 가서 그곳에서 심인을 전해 받았던 듯하다. 그리고 890년대 중・후반경 입당 유학하여 石頭계인 雲蓋志元의 법을 이었다.
    충담은 918년 6월에 귀국하여 鳳林寺의 심희를 찾았다. 918년 12월 심희는 경명왕의 초빙으로 경주로 가서 國師로 책봉되었다. 이후 봉림사에 머물던 충담은 920년 10월 견훤의 김해 침공을 피해 개경으로 향하였다. 그리고 921년 3월경 태조로부터 王師에 임명되었다. 충담은 심희와 달리 고려 태조와 결연하였다.
    王建은 원주의 興法寺를 중수하고 충담이 머물도록 하였다. 원주지역은 남한강변의 요충지로 왕건 즉위 이후 친궁예세력들의 비협조로 한동안 안정되지 못하고 있었다. 흥법사에 주석한 충담은 자신의 교화력과 문인 및 단월세력들의 물리력을 바탕으로 반왕건적인 성향의 세력들을 친고려적으로 유도하였다.
    충담은 940년(태조 23) 7월 興法寺에서 입적하였다. <충담비>의 건립은 스승인 심희와 대비된다. <심희비>는 신라 경명왕이 비문을 찬술하고 신라왕실의 지원으로 건립되었다. 반면 <충담비>는 태조왕건이 직접 비문을 찬술하였다. 태조의 <충담비> 찬술은 開泰寺의 <華嚴法會疏文>과 함께 고려 불교정책 추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Choongdam(忠湛, 869~940) was born in Muju(武州) in 869. His father received a threat to his own safety due to involvement in a political upheaval. In 880, Choongdam became a Buddhist priest under Jangsoon(長純), who was acquainted with his father. In 889, He received Koo Jok Kyey(具足戒; religious precepts a Buddhist priest must practice) at Yongshin-temple(靈神寺) in Muju. From that time, he studied under Shimhuy(審希, 855~923), who remained at Songkyeyseonwoen(松溪禪院) in Muju. It is considered that in 892, Chungdam went to Mt. Seorak(雪岳山) with Shimhuy to avoid war due to Gyeonhwon's(甄萱) occupation of Muju and there his teacher Shimhuy demonstrated and approved his Buddhist sermon. In the middle-and late-890s he studied in Tang(唐) and succeeded to religious tradition of the Seokdoo(石頭) school Woonkyey jiweon(雲蓋志元).
    Choongdam returned to his country and visited Bongrim-temple(鳳林寺) June 918, Shimhuy accepted King Kyeongmyeong's invitation to Gyeongju and he was appointed as the Most Reverend Priest December 918. After that time Choongdam remained at Borim-temple(寶林寺), and in order to avoid Gyeonhwon's invasion of Gimhae he left for Kaekyeong October 920. Choongdam was appointed as a king's teacher by Taejo Wang Geon(877~943), the founder of the Goryeo Dynasty, March 921. Contrary to Shimhuy, Choongdam entered into a relationship with Taejo of Goryoe.
    Wang Geon ordered to remodel Heungbeob-temple(興法寺) in Weonju(原州) and had Choongdam remain there. Weonju was a strategic location of South Han River, and it was not stablized by the uncooperative pro-Gungye forces for a long time. Choongdam the head of Heungbeob-temple led anti-Wang Geon forces to pro-Goryeo ones on the basis of his educative power and strength of the forces which followed him.
    Choongdam entered Nirvana at Heungbeob-temple July 940. The construction of the "Choongdam-monument(忠湛碑)" contrasts to his teacher Shimhuy's. The epitaph of the "Shimhuy-monument(審希碑)" was written, and the monument built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of Shilla. Buddhist priest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himhuy-monument" had pro-Shilla propensity. However, the epitaph of the "Choongdam-monumnet" was written by Taejo Wang Geon, and it was constr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of Goryeo. The epitaph of the "Choongdam-monument" has a great importance together with the HwaUmBeobHwoiSoMoon(華嚴法會疏文; Hwaum Buddhist memorial service writing) in that both of them presented the direction of Goryeo's Buddhist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