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춤 부토(舞踏) 속 육체의 의미: 스피노자의 심신일원론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Japanese Dance Butoh: From the perspective of Spinoza's mind-body monism)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3.03
14P 미리보기
일본 춤 부토(舞踏) 속 육체의 의미: 스피노자의 심신일원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1권 / 1호 / 115 ~ 128페이지
    · 저자명 : 어진

    초록

    부토는 1960년대 일본에서 발생한 춤의 한 형태이자 예술 현상이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일본은계속된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권위에 순응하는 인습과 전통으로부터 탈피하고자 전 예술 분야에서 실험적인활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때 인간의 신체를 표현의 직접적인 도구로 사용하는‘퍼포먼스’형태의 예술이 시작되었다. 부토 역시 일본 전통춤인‘노(能)’나 ‘가부키(歌舞伎)’가 가지고 있는 특징에서 탈피하여 현대예술이 가진 신체 중심의 표현기법에 편승하였다. 부토의 창시자인 히치가타 다츠미는‘부토란 목숨을 걸고 일어선 사체’라고표현하였다. 이는 부토가 육체에의 철저한 탐색을 근본으로 한다는 것을 뜻하며, 인간의 육신이 부토의 근본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이후의 부토가들의 근본 사상으로 이어졌으며 지금도 부토가들 작품의 중심 사상이다.
    부토는 표현주의 무용의 영향을 받아 일본인의 신체 속에 내재된 원형의 독특한 몸동작을 표현하는 것으로발전한다. 그러면서 부토는 움직임 형식보다는 춤의 근간이 되는‘신체의 표현’에 집중한다. 이러한 부토의 표현주의에 대하여 부토평론가 이찌가와 미야비는“포스트모더니즘이 탈근대라면 부토는 전 근대의 환류이고 동양적인 심신일원론을 기반으로 하였다”고 하며 부토와 심신일원론을 연결 지었다. 또한 부토가 오노 가즈오도영혼과 육체를 하나로 생각하고 영혼을 생명의 뿌리로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부토의 육체에 대한 인식과 미학적 태도를 조명하고 그것을 스피노자의 심신일원론에 근거하여 더 자세히 다뤄보고자 한다. 스피노자는 인간의 이성과 사유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신체를 물질로보는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에 반하여 유일 실체만을 인정하여 정신과 신체를 동등한 실체로 보는 입장의 심신일원론을 주장하였다. 스피노자의 심신일원론에서는 인간의 관념과 인식은 신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신체의중요성이 강조된다. 또한 스피노자에게 인간의 신체를 통한 무용은 정신세계가 동반되는 활동이자 인간의 본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가치를 가진 예술로 인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피노자의 일원론의 개념을 바탕으로, 부토의 육체와 표현의 의미를 재조명해본다.

    영어초록

    In the copyright art world of the 20th century, as human users began to receive attention as a new object of expression, a new style of hands-on work and genre were formed. The art form expressed through the distorted transformation of the port, a new concept of beauty, is transitioning from mod- ernism to postmodernism,2. did. In the crab racking world, a number of experimental choreographers emerged, focusing on movement for maneuver. As butoh began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se cul- tural phenomena, various expressions can be expressed with manna,In this paper, while illuminating Butoh's perception and aesthetic attitude toward the body, I examined it based on Spinoza's mind-body monistic world view that the mind and body are equal and the idea is expressed through the body.
    In the last chapter of this paper, Butoh's physicality and Spinoza's mind-body monism were exam- ined together. Butoh, which was influenced by the 'performance' type of art that directly uses the hu- man body as a medium of expression, also jumped on the body-centered expression technique of modern art. It has developed into expressing the original form with unique body movements. At the same time, butoh focuses on the 'body' and 'expressiveness', which are the basis of dance movement, rather than the form of dance movement.According to Spinoza's mind-body monism, the body in the art of dance can form the idea of self-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art of dance is not only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but that the body of the audience and the dancer causes transformation together. Spinoza explained this as a manifestation of Conatus.
    Spinoza's mind-body monism emphasizing power is a meaningful theory in the world of dance art.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butoh, in which the body itself is the subject of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uch a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