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구두적 드라마트루기로 본 여성주의 연구『루나사에서 춤을』 (Dancing at Lughnasa as a A Feminism Play Viewed in Nonverbal Dramaturg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0.08
27P 미리보기
비구두적 드라마트루기로 본 여성주의 연구『루나사에서 춤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0호 / 83 ~ 109페이지
    · 저자명 : 정윤길

    초록

    브라이언 프리엘의 작품『루나사에서 춤을』에 대한 많은 해석들은 극중 기억의 기능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를 바탕으로 나누어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루나사는 테네시 윌리엄즈의 『유리 동물원』에 의해 전형화 된 기억극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고 이야기되고 있지만 그러한 장르를 이용하는 프리엘의 목적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명들이 있다. 기억극으로서, 주인공 마이클은 엄마와 네 명의 이모들로 구성된 먼디가의 다섯 자매들에 대한 기억을 회상하고 있다. 작품은 육체에 대한 이교도적 의식을 전경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정신의 힘을 나타내기 위해 프리엘이 몸짓, 움직임 그리고 소리와 같은 비구두적 언어를 전개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작품에서 프리엘은 춤을 최대한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춤은 작품 전반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극적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있어서도 주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루나사에서 춤을』에서, 소년/내레이터의 장치는 과거에 대한 기억이 무대를 통제하고 지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작품은 생생하게 기억된 일련의 장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들리기도 하고 상상되어지기도 하는 꿈의 음악; 자체이기도 하고 메아리이기도 한 것 같은”춤이 있다. 극 중 춤은 이교도의 루나사 축제만이 아니라 아프리카의 부족 의식을 연상시키고 있다. 춤은 치유의 힘을 가지고 있으며 가부장적 언어 질서에서 빗겨난 여성의 성적 에너지의 표출처럼 보인다. 프리엘은 아일랜드 여성 서벌턴의 성역할을 구성하고 그들의 삶을 억제하는 벨리벡의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종교적 메커니즘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모든 장치들은 남성 내레이터의 관점에서 포스트콜로니얼 시대에도 아일랜드 여성들이 여전히 가부장적 체제와 가톨릭 규범에 의해 고통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Interpretations of Brain Friel's Dancing at Lughnasa tend to diverge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memory in the play. It is generally observed that Lughnasa stands in the traditions of memory theater epitomized by Tenessee Williams's The Glass Menagerie, but there are various accounts for Friel's purposes in utilizing the genre. As a memory play, the hero, Michael, recollects the memory of the five Mundy sisters, his mother and his four aunts. The play foregrounds the pagan consciousness of the body. This paper concentrates on Friel's utilization of a non-verbal language such as gesture, movement and sound to give expression to the buried forces of the psyche.
    In this play, Friel makes the most of dancing and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creating dramatic effects. In Dancing at Lughnasa, the device of the boy/narrator allows memory to control and dominate the stage. The play consists of a series of vividly remembered scenes, at the centre of which is the dancing, stimulated by 'a dream music that both heard and imagined, that seems to be both itself and its own echo.' The dancing in the play is associated not only with the pagan festival of Lughnasa but also with African tribal rituals. Dancing has healing power and would seem to be the expression of a distinctively female sexual energy which eludes a patriarchal, linguistic order. In this play, Friel exposes the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mechanisms in Ballybeg, which have constructed Irish female subalterns' gender role and constrained their life. Consequently, these devices revealed that, from the viewpoint of the male narrator, Irish women in the postcolonial age are still under the hardship, chained by the patriarchial system and Catholic regu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