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해안 별신굿 춤의 이원구조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 (Semiotic Study on Dual Structure of Namhaean Byulshin(別神)-Gut)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3.11
19P 미리보기
남해안 별신굿 춤의 이원구조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춤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춤학회誌 / 1권 / 1호 / 101 ~ 119페이지
    · 저자명 : 민성희

    초록

    언어학자 소쉬르에서 출발한 기호학(Semiotic)은 모든 대상을 기호로 보고 텍스트를 해석하는 서구의 해석학적 방법론이다 . 춤에 있어 기호학적 방법론은 춤동작 하나 하나를 의미소로 보고 그 의미소들이 전체 춤 속에서 의미망을 이루어 사회적인 의미 구조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 이러한 분석의 바탕은 계열체적(Paradigma) 분석을 통해 이원구조를 드러내는 것이다 . 별신굿춤의 기호학적 이원구조를 도출해내기 위해 먼저 별신굿춤을 팔 동작과 발 동작 , 공간구도로 나누어 서로 대립되는 성질의 동작들을 분류하였다 .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람과 죽음 , 이승과 저승 , 현세와 내세 , 땅과 하늘 , 한과 풀이 등의 이원구조가 성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가장 큰 이원구조는 사람과 신의 관계 에서 발생한다 . 또한 사람이 신에게 의례를 지내는 목적과 명분이 분명하며 이를 확장하여 전체적 구도로 살펴보면 축원의 의미를 지녔다 . 이는 별신굿춤이 결국 동양적 사상이 지니는 일원론적인 관점을 갖고 있음을 잘 말해주고 있다 . 그래서 인간과 신이 , 땅과 하늘이 , 한과 풀이가 서로 작용하여 결국은 신으로 하여금 인간에게 축원을 하도록 하는 하나의 원리를 드러내는 것이다 . 별신굿 춤의 이런 일원론적인 원리는 이원구조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 이러한 이원구조의 분석은 무속춤이 지닌 동양적 사유의 의미를 깊이 있게 제시할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Semiotics started from Saussure, a linguist, is a western hermeneutical methodology which considers the all things as signs and interprets texts. Concerning the dances, the hermeneutical methodology considers each dancing motion as a semanteme, and that the all semanteme form a semanteme network in a whole dance, eventually expanding the network to a social semantic structure. The foundation of this analysis is in the dual structure revealed through paradigma analysis. In order to draw out semiotic dual structure of Byulshin Gut dane, this study first divided the dance into 3 structures of arms' motion, feet's motion and spatial composition, and separately classified conflicting motions in the dance.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could know that in Byulshin Gu dance, there were dual structures between person and death, life and eternity, this word and next word, earth and sky, grudge and ventilation. Among them, the largest dual structure is happe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 and god. Also the dance clearly showed the person's purpose and justification performing the worship rite, and looking at the whole structure of dance, it could know that the Byulshin Gut dance contained the praying meaning. This well shows Byulshin Gut dance eventually has the monistic viewpoint of oriental thought. So through Bylshin Gut dance, the person and the god, the earth and the sky, and the grudge and the ventilation are interacted, so the dance eventually reveals one principle making persons to utter prayers. Byulshin Gut dance's monistic principle is well expressed in the dual structure's semiotic analysis. This analysis on dual structures will be the foundation to profoundly suggest oriental thinking's meanings contained in shamanism d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춤학회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