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꽹과리와 춤 연구Ⅰ-한중 소금(小金) 문헌 비교- (A Study about Korean Geungkwari and a Dance I -comparative literature of SoGum Korea and Chin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09.04
25P 미리보기
한국의 꽹과리와 춤 연구Ⅰ-한중 소금(小金) 문헌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38호 / 387 ~ 411페이지
    · 저자명 : 신명숙

    초록

    꽹과리는 민속악기로서 풍물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무용에서 쓰이는 꽹과리는 소품의 역할외에 춤의 목적에 따라 벽사, 경축, 예능등 복합적 기능을 갖게 한다. 또한 쇠, 꽹과리, 매구, 깽매기, 깽쇠, 광쇠, 꽝쇠, 동고, 쟁, 꽹매구 등 다양한 용어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악학궤범』 문헌에는 소금으로 소개하고 있다. 과거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악기 수입을 해왔고 오늘날 장고, 피리, 고, 박 등 많은 수입악기들이 한국 전통악기가 되었듯이 꽹과리도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악기라고 생각을 한다. 그러나 소금의 기록은 중국보다 200년 앞서 실물과 함께 조선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소금은 종묘제례악 연주용 악기로 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 악기 사용은 거의 없었고 이와 반대로 민간에서는 무용곡으로 활발히 연주되었다. 여러 정황을 근거로 꽹과리는 이미 민간에서 널리 사용된 악기였으나 조선왕조는 제례음악 변화로 속악을 수용했고 이때 꽹과리도 궁중악기로 편성되어 소금으로 명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소금은 200년 후 중국청대 만어(滿語)로 기록된 『만문노당(滿文老档)』 문헌에 처음 등장하고 근대출판물에는 조선족과 만주족들의 민간악기로 소개된다. 한국의 소금이 중국에 전달된 배경은 『明史』와 『청사고(靑史稿)』에 기록된 고려, 조선예인들의 중국 공연활동과 연관성이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SoGum(小金)” was found in “Akhakgeubum”, a musical history book recorded at early years of Chosun dynasty. “SoGum(小金)” is called as  “Geungkwari” today. I have researched Chinese documents to find the origin of “SoGum(小金)”, because most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were flowed from China even there are no records where the instruments came from.  In 1493 Sogum found in Akhakgeubum was used for play in ceremony. In the collection of poems wriiten by Lee An-Nul(1571~1637) Chosun, however, it was used for a dance performance also. Based on these differences, I assume that geungkwari for private using was flowed to Chosun dynasty.
    The records about Chinese “SoGum(小金)” were found documents written Manchu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Qing Dynasty China. But the record was written after 200 years than the Chosun's documents. In other words, Korean “Sogum” had been spread from Chosun to China. This statement is based on GoryuAK(高麗樂) at Ming Dynasty China, records regarding  Chosun’s national entertainers had played dance at Royal Court, and lastly, “Sogum” was described as the national musical instrument in Current Chinese music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