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속요에 나타난 민요적 표현과 슬픔의 치유방식 -<만전춘별사>, <오관산>, <정석가>를 중심으로- (Healing Methods and Traditional Expression of Sorrow in Goryeo Folk Song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7.01
28P 미리보기
고려 속요에 나타난 민요적 표현과 슬픔의 치유방식 -&lt;만전춘별사&gt;, &lt;오관산&gt;, &lt;정석가&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42권 / 107 ~ 134페이지
    · 저자명 : 서영숙

    초록

    고려 속요 중에는 당대 민간에서 불리던 민요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 노래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 글은 고려 속요 중 현전 민요와 유사한 표현 방식을 지니고 있는 세 편의 노래, <만전춘별사>, <오관산>, <정석가>를 택하여, 이들 노래가 슬픔의 정서를 어떻게 표현하고 치유하는지, 현재 전승되고 있는 민요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만전춘별사>는 여인이 사랑하는 임의 부재에서 오는 슬픔을 극복하고 임과의 재회를 기원하는 노래로, 그중 4연은 민요 <시집살이 노래>, <이별 노래> 등에서 화자의 슬픔과 원통함을 표현할 때 흔히 나오는 관용구를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눈물 연못에 뜬 오리와의 가상적 대화를 통해 자신의 슬픔에 거리를 두는 ‘극화’ 방식으로, <만전춘별사>의 향유층이 민요적 표현과 치유 방식에 공감하였음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노래를 부르고 듣는 사람들은 눈물을 웃음으로 바꾸고 슬픔에서 희망으로 마음을 다잡으며 슬픔을 건강하게 치유할 수 있었으리라 본다. <오관산>과 <정석가>는 언젠가는 다가올지 모를 어머니 또는 임(임금)과의 이별(나아가 죽음)로 인한 슬픔을 부정하고 영원히 함께 하기를 기원하는 노래로, <타박네 노래>, <애운애기 노래> 등 죽음으로 인한 이별을 노래한 민요에서 관용적으로 나타나는 역설적 표현을 공유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민요가 평민들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극복하는 치유의 노래가 될 수 있었던 데 비해, 고려 속요는 이를 임(임금)에 대한 축수와 서원의 노래로 불리면서 상층민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까지 완전히 치유할 수는 없었으리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healing methods and traditional expressions of sorrow in Goryeo folk songs. I explored how Goryeo folk songs had traditional methods of expression that were common in other folk songs, and how they helped with mourning compared with present traditional folk songs. My analysis focused on Manjeonchunbyeolsa (Spring Filled in Garden), Ogwansan (Five Rank Mountain), and Jeongseokga (Gong Stone Song).
    Manjeonchunbyeolsa is a Goryeo folk song in which a woman recovers from the sorrow of having said goodbye to her lover and prays to reunite with him. Dialogue with a duck appearing in the fourth stanza is a stylistic device used in other traditional folk songs such as Sijibsari Norae (Women's Married Life Song) and Ibyeol Norae (Farewell Song). Using dialogue with a duck as a means of expression is a dramatization method that uses humor to create distance from sorrow of farewell by the dialogue with a duck. It shows that this means of expression and healing had successfully evoked the sympathy of singers and listeners of Goryeo folk songs. Through this method, singers and listeners of these songs could convert tears to laughs and grief to hope, soundly healing their sorrow.
    Ogwansan and Jeongseokga are Goryeo folk songs that deny the farewell (or death) of one’s mother or king and pray for their longevity. They are considered to have shared these paradoxical expressions with traditional folk songs such as Tabakne Norae (Song of Girl Missing Her Dead Mother) and Aewunaegi Norae (Song of Woman Going to the Otherworld). These traditional folk songs also had the capacity to heal and overcome sorrow for those in mourning. However, Goryeo folk songs could not heal the aristocrats' anxiety thoroughly because the songs were sung to wish for good fortune in an uncertain futur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