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미술과 패션에 차용된 추(醜)의 미학에 관한 연구 -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Ugliness Applied into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Focused on Adorno’s Aesthetic Theory-)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2.09
14P 미리보기
현대미술과 패션에 차용된 추(醜)의 미학에 관한 연구 -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8권 / 3호 / 201 ~ 214페이지
    · 저자명 : 박월미, 배수정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을 통하여 현대적 추의 특성을 이해하고, 추의 미적가치를 범주화하여 현대미술과 패션에 차용된 추의미학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추’에 관한 이론을 문헌연구 중심으로 살펴보고, 현대미술과 패션에차용된 ‘추’는 사례연구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대패션은 2000 S/S부터 2010 F/W까지 4대 프레타 포르테컬렉션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의 부정성은 저항성, 왜곡성, 부조화로 구분되었다. 현대미술에서 부정성은 반문화와 반가치 체계,사회문제 고발을 표현한 작품들로, 주로 추상표현주의, 입체파표현주의, 다다이즘의 예술사조에서 나타났다. 현대패션에서 추의 부정성은 의복의 전통적인 규범과 양식을 부정하는 반패션(anti-fashion)으로 나타났으며, 인체의 왜곡을 통한 변형은 아방가르드 패션(avant-garde fashion)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의 양면성은 혐오성, 공포성, 성(性)의 양면성으로 구분되었다. 현대미술에서 양면성은 신체 파편화, 사도마조히즘을 통하여 초현실주의, 페미니즘, 신체미술의 작품에서 많이 나타났다. 현대패션에서 추의양면성은 사도마조히즘, 악마적 모티브를 사용하여 성의 양면성이 공존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양면성은 현대미술과 패션에서 사회고발을 통한 부정성으로도 나타났다.
    셋째, 추의 불확실성은 우연성, 모호성, 이질성으로구분되었다. 현대미술에서 불확실성은 추상표현주의,신표현주의, 다다이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나타났다.
    현대패션에서 불확실성은 혼성모방과 하위문화 패션의 펑크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20세기 이후 날로 다변화하는 미의 경향을 예측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ugliness based on aesthetic theory of Theodor Adorno, who perceived ugliness as an aesthetic concept, and categorize aesthetic value of ugliness, and analyze the correlation of ugliness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For the approach of this study, the theory of ‘ugliness’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rrelation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was analyzed by case study. The contemporary fashion was limited four collections of prêt-à-porte from S/S 2000 to F/W 201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the negativity was classified into resistance, distortion,and dissonance. In contemporary art, it appeared in abstract expressionism, cubism and dadaism which expressed anti-culture, anti-value system, and accusation against social problems. In modern fashion, the negativity appeared as anti-fashion that negates the traditional norms and modes of clothing and body transformation through distortion appeared as avantgarde fashion. Secondly, the duality was classified into disgust, fear and sex. In contemporary art, it was commonly found in surrealism, feminism, and body art works through body fragmentation of destructive and Sado-masochism. In modern fashion, it appeared in the sexual anatomic image, Sado-masochism and demon’s motives. The duality also appeared as negativity through social accusation in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Thirdly, the uncertainty was classified into accident, ambiguity and heterogeneity. In contemporary art, it appeared as abstract expressionism, dadaism of neo-expressionism, and postmodernism. In fashion,it appeared in pastiche, pluralism and punk.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s some information of the future trends of beauty which has been diversified since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