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초기 한국선법의 전래와 그 성격 (The transmission and character of the foremost Korea S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08.08
42P 미리보기
최초기 한국선법의 전래와 그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0호 / 119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법랑의 귀국연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최치원의 비명에 의하면 도신의 선법을 계승했다는 사실, 선법을 신행에게 전수했다는 사실만큼은 인정할 수 있다. 信行(704-779)은 {智證大師寂照塔碑}에 의하면 법랑에게서 心印을 받았지만 이후에 입당하여 神秀 - 普寂의 문인이었던 志空에게서 灌頂授記를 받고 귀국하여 斷俗寺에서 입적하였다. 이후 信行의 선법은 遵範 - 惠隱 - 智證大師 道憲으로 계승되었다.
    신행은 계림에 돌아와서 도의 성품이 아직 덜익은 자들에게는 看心으로 가르쳐 이끌어주었고 이미 성품이 익은 자들에게는 갖가지 방편으로 이끌어주어 각각 선법의 비전을 통하게 하였고 삼매의 밝은 등불을 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신행이 전승한 선법은 일찍이 법랑의 심법에 근거하였고 그것을 계승하여 지공선사의 교학에 근거한 것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달마를 비롯한 선종의 형성기부터 교학의 중시는 일관된 입장이었다.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신수, 보적 지공으로 계승된 신행의 선법은 다시 遵範 - 慧隱 - 智詵으로 계승되어 소위 曦陽山門의 일파를 이루었다. 이로써 판단하면 신행은 동산법문을 계승하였고 동시에 당시의 북종계통의 법맥까지 계승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신수를 계승한 의복과 보적 등은 국사의 지위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천하의 선법은 거의 이들을 중심으로 한 동산법문의 계승자들에 의하여 전개되고 있었다. 따라서 신행은 당시로서는 최고의 권위와 법맥을 계승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신행의 선법은 바로 법랑을 통한 동산법문의 見佛性 사상과 守一不移 사상의 계승이었으며, 志空을 통한 북종의 看心과 방편법문의 계승이었다. 이것은 소위 남종 계통의 선법과는 다른 차원의 입장이었다. 때문에 이것은 초기 한국선법의 성격을 살펴보는 중요한 단서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선법의 시작은 도신의 정통법을 계승한 법랑선법과 신행선법의 바탕이 되었음은 분명하다. 이것은 곧 어디까지나 교학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된 중국 조사선의 전통선법의 정통적인 계승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교학에 바탕을 둔 선법이 바로 이후 신라사회에 선법이 뿌리를 내릴 수 있었던 기반이었다.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후대에 도의 및 홍척의 沒蹤跡한 선법이 구축되는 토대였음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최초기 한국선법의 전래 및 그 성격은 혈맥으로는 보리달마 법맥의 정통인 대의도신의 법맥이었고, 사상 및 실천적으로는 불립문자와 교외별전의 전통을 강조한 혜능의 계통과는 달리 도신의 교학적인 바탕 및 북종선 계통의 藉敎悟宗의 전통을 전승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first korea seon thoughts was transmitted and formed by Bup-rang seonmaster(法朗禪師) and Shin-hang seonmaster(信行禪師 704-779). Bup-rang(634 ? - 724 ?) transmitted Korea seon thoughts from Tung shan seon thoughts(東山法門) to Shinla. His seon thoughts handed down by Shin-hang. Shin-hang - Joon-bum(遵範) - Hye-eun(慧隱) - Ji-sun(智詵) in due order.
    Moreover Shin-hang seonmaster transmitted Seon thoughts expounded Shen-hsiu(神秀 606-706), disciple of Tapman Hung-jen(大滿弘忍 602-675). Theses built up Korea seon thoughts in Shinla. Namely, Shin-hang′thoughts were duplicated Tung shan seon thoughts and Shen-hsiu seon thoughts. These seon thoughts were taught by letters and words. These tradition originated from Bodhi-dharma, the first Seon patriarch in China, seon sects in turn. In this respects, the transmission and character of the foremost Korea Seon was orthodox of Bodhi-dharma-seon, at fir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