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치원(崔致遠) 산문에 대한 재론 (Re-consideration on Choi Chi-won's Pro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1.11
49P 미리보기
최치원(崔致遠) 산문에 대한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44호 / 265 ~ 313페이지
    · 저자명 : 유수빈

    초록

    본고의 목적은 최치원(崔致遠, 857~?)의 산문을 변려문(騈麗文) 일색으로 평가했던 기존의 시각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 산문의 문체와 성격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데 있다. 재당 시기(在唐時期) 고병(高騈, 821~887)의 막하에서 지은 글 모음집인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을 근거로, 과거의 문인부터 현대의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모두 최치원을 의심할 나위 없는 변려문 작가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그가 신라로 귀국한 이후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 『고운집(孤雲集)』과 『고운속집(孤雲續集)』에는 종종 정격 변려문이 아닌 글들이 포착된다. 본고에서는 정격 변려문만을 보이던 재당(在唐) 시기와는 달리 신라 귀국 이후의 산문에서는 조금씩 정격에서 벗어난 문체가 나타난다는 사실 자체가 그 비중을 막론하고 매우 중요한 현상이라고 보고, 그의 산문에서 변려문적 요소와 고문적 요소를 처음으로 고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선 최치원의 산문에서 변려문적 요소와 고문적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변려문적 요소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계원필경집』에 실린 글을 통해 평측(平仄)과 대장(對仗)을 엄격하게 지키면서도 그와 관련된 고사(故事)를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의사를 구체화하는 기교를 살필 수 있었다. 이어서 『고운집』과 『고운속집』의 글을 통해 그의 귀국 후 산문을 고찰하였다. 이때 재당 시기 산문과 같은 문체인 주의류(奏議類)의 경우와 다른 문체인 잡기류(雜記類)ㆍ비지류(碑誌類)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의류의 경우, 형식적으로 재당 시기 산문과 차이가 나지 않지만, ‘제잠(鯷岑)’이나 ‘신학(蜃壑)’ 등 ‘신라’를 의미하는 용어를 최초로 고안하여 사용했다는 점에서 내용적으로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중국에 보내는 표문(表文)에서조차 신라에 대한 주체성이 드러난다는 사실은, 그의 동인의식(東人意識) 고찰에 있어 진일보한 논의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발편을 마련한 셈이다. 잡기류와 비지류의 경우, 변려문의 엄격한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체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용의 출처가 되는 해당 원문을 가감 없이 그대로 인용함으로써 대장과 평측 규칙을 준수하지 못하였고, 대화나 서사 등 그 내용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과감히 자수(字數)의 제한까지 포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는 거시적 차원에서 당시 중국 문단의 상황을, 미시적 차원에서는 중국 문인과의 직ㆍ간접적 교유를 제시할 수 있다. 요컨대, 적어도 당대(唐代)까지는 변려문과 고문의 관계가 그리 배타적이지 않았던 상황 속에서 중국 문인의 문체를 직ㆍ간접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문체의 글을 탄생시켰다고 하겠다.
    본고는 최치원 산문의 문체와 성격을 재고찰하려는 노력의 소산이다. 본고를 발판으로 삼아 그의 산문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보다 세밀한 관찰과 분석이 진행된다면, 최치원의 위상과 한국 한문학의 역사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existing perspectives that evaluated the prose of Choi Chi-won(崔致遠, 857~?) based on pianliwen(騈麗文) only and carry out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ry style and personality of his proses. Based on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his prose collection written under the flag of Go Byeong(高騈, 821~887) during his stay in Tang China, all people from the literary men in the past to the contemporary researchers, have recognized Choi Chi-won as a writer of pianliwen. However, some proses different from rated pianliwen are captured in Gowoonjip(孤雲集) and Gowoonsokjip(孤雲續集) which were written after he returned to Shilla. On this paper, we tried to research the elements of pianliwen and the elements of ancient-style proses from his proses for the first time as he showed the slightly different literary style from the formal style since he returned to Shilla, unlike while he stayed in Tang China where he wrote only a formal pianliwen, and we thought it very important phenomenon regardless of the weight.
    First, it was needed to identify clearly what the elements of pianliwen are, in order to classify the elements of pianliwen and the elements of ancient-style proses from the proses of Choi Chi-won. Through his proses on Gyewonpilgyeongjip, we could find his techniques that used the related idioms of ancient events properly while keeping Pyeongcheuk(平仄) and Daejang(對仗) strictly in order to clarify his intentions. We continued to study his proses written after he returned to Shilla through Gowoonjip and Gowoonsokjip. At this time, we examined the proses by classifying into Jueui type(奏議類) which is same style of the prose written during his stay in Tang China and different style Japgi type(雜記類) and Biji type(碑誌類). First, for Jueui type, we found that there was not a difference formally from his prose during his stay in Tang China but he created and used the terminology such as ‘Jejam(鯷岑)’ or ‘Shinhak(蜃壑)’ which means ‘Shilla’ for the first time which showed a big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ntent. For Japgi type and Biji type, it was found that he showed new writing style away from the strict form of pianliwen. He could not obey the rule of Daejang and Pyeongcheuk as he quoted the original sentences as they are without adding or deleting from the sources of quotation, and even he did not follow the four-six letter rhyming couplets which is the basic form of pianliwen. This is explained that he focused on the contents rather than the form. As the background of this change,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situation of the Chinese literary world at the macro level and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with Chinese writers at the micro level. In short, it can be said that at least until the Tang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pianliwen(騈麗文) and ancient-style proses(古文) was not very exclusive, and the Chinese literary style was directly or indirectly accepted, creating a new style of writing.
    In brief, this paper is the result of our efforts to reconsider the writing style and personality of Choi Chi-won's proses. Based on this paper, if more detailed observa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about the form and contents of his proses, we will be able to look at the stature of Choi Chi-won and the history of Chinese-language literature of Korea in a new l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