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구 고분군 3~5세기 고구려 적석총 경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3~5th Centuries Goguryeo Stone Mound Tomb in Tonggu Tumul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1.11
32P 미리보기
통구 고분군 3~5세기 고구려 적석총 경관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14권 / 114호 / 157 ~ 188페이지
    · 저자명 : 장주탁

    초록

    적석총은 지상식으로 축조되는 적석분구묘로서, 구성석재의 가공 및 적석방식에서 기술적 요소및 위계의 차이가 외표적으로 구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적석분구묘로서의 성격을 갖는 적석총의 대규모 집합체인 통구 고분군, 이것이 나아가 왕도경관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은 적석총에 대한 경관적인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해주고 있다.
    3~5세기 적석총의 분구의 일련의 변화는 高大化라는 방향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적석총이 갖는 제의무대로서의 성격을 고려하면 적석총 분구의 고대화는 동시에 장례행위가 일어나는 매장면의 상승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례의 주축이 되는 피장자의 시신 안치 및 장례행위의 공간(매장면) 의 수직 규모 상의 증가는 제의 장엄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요소로 파악하였다. 한편 왕릉급 적석총이 갖는 능원과 중소형급 적석총에서 나타나는 열상배치 및 분지양상을 통하여 배타적 공간(고분영역 / 누적고분영역)으로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장례참석자의 공간을 설정하였다.
    4세기를 기점으로 왕릉과 왕릉에 준하는 대형 적석총이 전통적인 열상배치 양상에서 이탈하며, 4세기 후반을 지나면서 산성하 서하편 묘구의 중대형 적석총들까지 전통적인 조밀한 배치에서 벗어나 일정한 고분영역을 갖는 조방한 열상배치로 변화한다. 한편, 상대적으로 고대화되지 않은 적석총들은 4세기 후반까지도 조밀한 열상배치의 질서에 포함되어 있다.
    적석총 분구의 고대화, 배타적 공간의 발생과 확장은 가족적⋅집단적 성격을 표출하였던 전통적인 열상배치의 양상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적석총의 분구의 변화와 공간적 점유 양상의 변화는 차등적으로 발생하였으며 다시금 왕도경관⋅생활경관 속에서 지속적으로 인지되어 이미지화되는 외표적 요소로서 상호작용하여 계층성을 표출하였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Stone Mound Tomb(積石墓) is Above-ground Type Burial also Mound Precede-Built Type Burial. The differences in technical elements and grades of stone proc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s are distinguished by their external appearance. The fact that Tonggu(洞溝) Ancient Tumuli, a large cluster of Stone mound Tomb, and this further forms a Capital landscape of Guk-nae(國內), raises the need for a landscape review of Stone mound Tomb.
    Stone Mound Tomb have a direction of change that becomes increasingly larg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Considering the nature of Mound Precede-Built Type Burial as a “Stage of Ritual,”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eaning of this change was a means to express the majesty of the accused in “Ritual-scape”.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in the ceremony who observe and experience this, space is required to attend as the Mound becomes huge. In the process of “buffer-zone” gradually occurring in the Higher rank Stone Mound Tomb, and the “Royal Tomb System(陵園制)” with Exclusive space for Royal tomb is implemented, one can guess the landscape structure of the “Mound(space of Ritual)-Buffer zone(observer's space).” On the other hand, lower rank Stone mound tomb display dense longitudinal arrangement and this is understood to represent a family and collective nature. It contrasts with the separation of Higher rank tombs from the traditional order. This is a means by which the upper classes expressed their pow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landscape, and has an important meaning that it becomes a point of view of the social structure of the Goguryeo Tonggu Tumul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