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매매집결지 해체와 자활지원조례 형성 과정을 둘러싼 성매매 여성혐오 연구: 전주시 선미촌을 중심으로 (A Study on Misogyny Against Women in Prostitution over the Process of Dismantling Prostitution District and The Establishing Ordinance for Self-Reliance Support: Focusing on Seonmi-chon in Jeonju)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4.12
49P 미리보기
성매매집결지 해체와 자활지원조례 형성 과정을 둘러싼 성매매 여성혐오 연구: 전주시 선미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주주의와 인권 / 24권 / 4호 / 167 ~ 215페이지
    · 저자명 : 최장미

    초록

    본 연구는 전국 최초로 강제 폐쇄가 아닌 도시재생 방식으로 집결지 폐쇄를 이룬 전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매매 여성의 삶의 권리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성매매 피해 여성 자활지원조례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성혐오의 사회적 맥락을 검토하며, 그러한 혐오 담론이 어떻게 재생산되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선미촌 집결지 폐쇄와 관련된 이해관계자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사회 내에서 성매매집결지 폐쇄 정책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었으나, 성매매 여성들에 대한 자활지원정책에 대한 찬반 논쟁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을 사치스러운 허영심 많은 소비자로 혐오하며 ‘행정 낭비’ 담론이 확산되었다. 둘째, 성매매 여성들은 진정한 사회적 약자가 아니라는 복지 수혜 자격 논쟁이 부각되며, 세금을 납부하는 ‘정상적’ 시민들과 구분 짓는 배제와 낙인이 강화되었다. 셋째, 성매매 여성들에 대한 혐오는 도시 일상 공간에서 지역 낙인으로 확산했다. 도심 내 혐오시설 개선의 필요성을 이유로 ‘민간개발’ 담론이 집결지 폐쇄의 당위성으로 활용되면서 성매매 문제는 탈젠더화되었다. 이는 여성들의 삶을 비가시화하고 착취적인 성매매의 역사는 은폐되었다. 넷째, 성매매 업주들은 집결지 폐쇄 과정에서 강제 철거 반대와 세입자 보상 요구를 통해 최대한 불법 이익을 얻고자 여성들의 생존권 논리를 내세우며 여성들에 대한 혐오와 배제를 더욱 강화했다. 본 연구는 성매매 문제 해결 있어 개인의 선택과 책임 담론을 넘어 성매매 알선 카르텔을 가시화하고, 여성들이 성매매를 하지 않고도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자원의 재분배를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ights of women in prostitution to survive, focusing on the case of Jeonju, which achieved the dismantling of a brothel village through an urban renovation rather than forced closur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 this end, the social context of misogyny occurring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self-reliance support for sexually exploited women was examined, and how such hatred discourse is regenerated was critically analyzed. Thu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targeting 12 stakeholders involved in dismantling Seonmi-village, or brothe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consensus for the dismantling of the prostitution village was formed among the local community, it led to a debate for and against the support for self-reliance of women in prostitution. In this course, a discourse of misogyny that assumes women in prostitution are vain and extravagant consumers and that providing public support is a waste of administrative effort. Second, as the argument on eligibility for receiving welfare has been kindled based on the premise that women in prostitution are not “truly” socially disadvantaged, the stigma that separates them from ‘normal’ tax-paying citizens and exclusion against them were reinforced. Third, the hatred toward women in prostitution has spread from everyday urban spaces to stigmatization of specific local areas. The discourse over a ‘private development project’ was exploited to justify the dismantling of the brothel village due to the need to reform unpleasant facilities within the urban center, which resulted in the degeneration of prostitution. This made women's lives invisible and the history of exploitative prostitution hidden. Fourth, dur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village, the brothel runners put forth the rights of women to survive in order to maximize the illegal profits by opposing forced demolition and demanding compensation for tenants, which altogether reinforced the hatred and exclusion of women in prostitution. This study went beyond the discourse of individual choice and responsibility, visualized the sex industry brokerage cartel in resolving prostitution issues, and suggested the redistribution of sociocultural resources so that women can lead a life without returning to prostit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주의와 인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