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도 (Status and Need Assessment on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among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6.04
13P 미리보기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1권 / 2호 / 152 ~ 164페이지
    · 저자명 : 오나경, 서정숙, 권수진, 김경원, 손정민, 박혜련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영양교사의 영양·식생활 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 선정을 위해 2단계 층화집락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전국 17개 시· 도 의 초등학교 70개, 중학교 41개, 고등학교 40개의 총 151 개 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일반사항, 영양교육 실태, 영양·식생활교육 요구도, 영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의견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양·식생활교육 실시 여부에서 초등 65.7%, 중고등51.9%가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영양·식생활교육은 ‘재량활동·특별활동시간’ 25.7%로 직접교육을 주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고등학교는 ‘기타’ 의견 22.2%에 해당하는 ‘가정통신문, 학교홈페이지, 급식소게시판, 교육자료, 체력향상프로그램, 창의적 체험활동시간등’ 간접교육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2. 영양·식생활교육 빈도는 초등학교는 ‘주 1~2회’, 중· 고등학교에서는 ‘월 1회 이하’가 가장 많아 초등과 중·고등학교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영양·식생활교육 내용으로 초등학교는 ‘올바른 식습관 및 식사예절’, 중·고등학교에서는 ‘영양 및 건강정보’가 가장 높은 비율을나타내 저학년일수록 식습관을 강조하는 교육을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식생활교육을 위한 수업방법으로는 초등학교에서는 ‘강의’, ‘동영상, 인터넷 이용’, ‘영양상담실 운영’을 선택하였고, 중·고등학교에서는 ‘영양상담실 운영’, ‘동영상, 인터넷 이용’, ‘기타’의견으로 홈페이지, 게시물, 구두교육, 교육자료(유인물), 가정통신문, 교내메신저 이용, 보건소 등을 선택하여 초등과 중·고등학교 간 수업방법의 차이가 있었다.
    4. 영양·식생활교육에 활용하는 학습자료 및 기자재로 초등학교에서는 ‘PPT자료’ 28.1%, ‘컴퓨터, 인터넷’, ‘만화, 스티커, 활동지’를 중·고등학교에서는 ‘컴퓨터, 인터넷’ 34.2%, ‘리플릿, 소책자’, ‘전시, 게시자료’를 선택하여 초등과 중·고등학교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다.
    5. 영양교육의 어려운 점은 영양교사의 ‘업무 과다’가 전체 27.9%로 가장 많았고, ‘표준화된 프로그램 부족’ 24.4%, ‘교육시간 할애 받지 못함’ 15.2% 순으로 선택하여 급식과교육을 병행하는데 시간적, 환경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있다. 영양·식생활교육의 실시 효과로는 ‘바람직한 식습관형성’이 전체의 8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원하는 영양·식생활교육 주제로는 초·중·고등학교에서 ‘올바른 식습관 및 식사예절’이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였고 그 다음 ‘편식 교정’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조리실습, 견학 등 체험학습’이 가장 높았고 초등과 중·고등학교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효과적인 교육 자료로 초등학교에서는 ‘만화, 스티커, 활동지’, ‘식품, 모형’, ‘PPT자료’ 순으로선택하였고 중·고등학교에서는 ‘식품, 모형’, ‘전시, 게시자료’, ‘PPT자료’ 순으로 선택하여 초등과 중·고등학교 간에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7. 연수 필요 여부에서는 ‘필요하다’가 98.7%로 높은 응답을 보였고, 원하는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은 초등학교는 ‘수업의 기술’, ‘교수, 학습 자료의 제작 및 활용’, 중·고등학교는 ‘수업의 기술’, ‘수업의 계획과 설계’ 을 선택하여 영양교육의 전문성을 올려 질적으로 우수한 영양교육을 실시하기를 희망하였다.
    8. 영양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는초등학교에서는 ‘업무 경감을 통한 교육시간 확보’가 가장높게 나타났고, 중·고등학교에서는 ‘표준화된 영양·식생활교육 교재개발’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학교 영양·식생활 교육을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영양교사의 교육 여건을 제도적으로 개선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 요구도를 반영한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영양교사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need for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among nutrition teachers at schools. Thes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f they were different betwee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high schools.
    Methods: Subjects were 151 nutrition teachers from 70 elementary schools, 41 middle schools and 40 high schools in 17 cities nationwide selected by two-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process. Survey questionnaires included the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tatus and need assessment for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Chi-square test or t-test was used for data analysis by school groups.
    Results: Nutrition education was implemented at 65.7% of elementary schools and 51.9% of middle-high schools. Nutrition education was mainly performed in ‘discretionary activities•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elementary school and through ‘newsletters, school homepage, foodservice bulletin board’ at middle-high school (p<0.001). The most needed topic for nutrition education in nutrition teachers was ‘healthy dietary habits and table manners’ and th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chool groups. Responses on adequate frequency (p<0.01), methods used for nutrition education (p<001), materials for nutrition education (p<0.001), information sources for nutrition education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chool groups. Major tasks for activating nutrition education included ‘securing the time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reducing work loads' and ‘developing standardized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in schools.
    Conclusions: Nutrition education at schools might be activated by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of nutrition teachers and developing the practical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of nutrition t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