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17세기 초 영남지역 서원 원규의 구조와 변화 (Structure and Change of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Seowon in Gyeongsang-do from th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ie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2.04
50P 미리보기
16세기~17세기 초 영남지역 서원 원규의 구조와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앙사론 / 55호 / 5 ~ 54페이지
    · 저자명 : 이경동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원의 건립 초기인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영남 지역 서원의 운영 규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변화를 통해 시대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543년 백운동서원이 건립되고 주세붕에 의해 원규가 제정되었다. 백운동서원 원규는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체로 수령이나 원임을 중심으로 한 관리형 성격을 가지고 있다. 백운동서원의 원규는 1559년 제정된 영봉서원의 학규록이나 1562년에 제정된 임고서원 범규 등에 영향을 끼쳤다. 해당 서원들은 백운동서원의 원규를 활용하면서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는 형태를 통해 자체적인 원규를 완성하였다. 1559년 이황은 이산서원 원규를 제정하면서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 원규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도 백운동서원 원규와 동일하게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지만, 원생의 강학활동이나 생활규범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령을 포함한 관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황이 지향하는 도학 중심의 서원관이 반영된 것으로서 관학에서 사학으로 변화되어가는 서원 운영의 경향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는 이황과 그의 문인들이 건립을 주도한 서원뿐만 아니라, 16세기 중‧후반 건립되었던 서원에 도입되었다. 이들은 이산서원 원규를 기반으로 백운동서원 원규의 사례에서와 같이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면서 독자적인 원규를 구축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 영남지역 전체에 걸쳐 서원이 활발하게 건립되기 시작하면서 운영의 기준이 되었던 원규들도 다양하게 제정되었다. 그 결과점차적으로 서원 원규들이 상세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1588년 유운룡이제정한 오산서원 학규와 이를 수용한 임고서원 범규는 60여개가 넘는 조항을 제정하였으며, 각 항목을 범주화하여 규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정구는 천곡서원과 도동서원의 원규를 제정하였는데, 두 원규 사이에는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이 확인된다. 정구는 지역적‧ 시대적 특성에 따라 자신이 제정한 원규라 하더라도 각 조항 사이의 차이점을 두면서 두 서원의원규를 제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제정되었던 영남지역 서원원규는 상호 관련성 속에서 전개되어 갔으며, 이를 통해 조선 사회에서 전개되었던 서원 운영의 다채로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Gyeongsang-do reg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and to analyze the times through changes thereof. In 1543,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and its operating regulation was established by Ju-Sebung. This academy regulation consisted of 12 items, most of them related to management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perators. Since then,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dong-sewon influenced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Yeongbong-seowon established in 1559 and Yimgo-seowon established in 1562. These Seowons established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 woonong-seow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In 1559, Yi-Hwang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 seowon, which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regulation established by Ju Se-bung.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seowon focused o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living norms, and tende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public authority, includ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was distributed not only to Seowons whose foundation was led by Yi-Hwang and his disciples, but also to Seowon which were built in the mid and late 16th century. They established their own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As Seowon began to be actively built throughout the Gyeongsang-do region after the mid-16th century, various academy regulations were also established as the guideline for operation. The regulation of Osan-seowon established by Ryu Woon-Ryoung in 1588 and the revised regulation of Yimgo-seowon that accepted the Osan-seowon’s regulation consisted of more than 60 provisions, showing a more detailed trend than before. Jeong-Gu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both Cheongok-seowon and Dodong-seowon, which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along with commonalities. As described above, Seowon’s operation regulations established in Gyeongsang-do from th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develop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Seowon, and this shows various charac teristics of Seowon’s operation in Jose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