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민요에 대한 인식과 가창 교육의 쟁점 (The Educational Issues about Folk So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02
24P 미리보기
20세기 초 민요에 대한 인식과 가창 교육의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2권 / 1호 / 101 ~ 124페이지
    · 저자명 : 성기련

    초록

    이 논문에서는 20세기 초 민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당대의 인식이 초기 민요 가창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초기에 정립된 민요 교육의 방향에 대한 교육적 쟁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세기 초 조선의 지식인들이 잡지에 기고한 글을 통해 당대 조선 사람들이 민요에 대해 갖고 있던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192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향토예술로서 민요의 가치를 식민정책과 민족문화의 양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게 여겼던 현상과 그 배경에 주목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학교의 음악교육이 창가 중심으로 행해지고 민요에 대해서는 노랫말에 대한 문학적인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던 상황에서 이화전문학교에서 처음으로 조선 민요의 가치에 주목하여 학생들에게 민요 가창 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민요 교육은 서양식 화성에 기반하여 선율 악기로 반주를 하고 합창곡으로 편곡한 제재곡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당시 음악인들 사이에 쟁점이 되었다.
    또한 20세기 초 식민지 시기의 조선에서는 지식인들 사이에서 민요의 가치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식민 정책의 일환으로 민요가 수집되고 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민요가 연구되기도 하였으나 조선에서 ‘노래’인 민요의 본질을 접어두고 ‘노랫말’에 수집과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는 것은 이미 민요가 살아있는 문화로 존재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본고의 고찰 결과 20세기 초 조선에서는 일상의 삶 속에서 희로애락의 감정을 담아 불리는 살아 있는 가창문화로서 민요의 가치가 논의되고 연구되거나 교육되지 못하였으며 민요의 문학적 가치만이 강조되었다. 또한 민요 가창 교육의 경우에도 시김새와 장단 등 민요의 본질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고 서양음악화(Westernized Music)된 민요를 가르쳤으며 이에 대해 상반된 의견이 있었음에도 이와 같은 가창 교육의 방향은 한동안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민요 가창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는 전통문화와 서구문화의 충돌의 결과이며, 일제 강점의 영향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고유의 언어와 음악어법, 그리고 전통문화의 원천인 민요의 중요성이 제대로 논의되지 못한 채 ‘민요’의 개념과 함께 조선으로 수입된 ‘민요의 가치’가 피상적으로 추구되고 논의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Folk Songs” have been commonly recognized as “songs that naturally include the emotions that we feel in our daily lives.” In this paper, I have sought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folk songs in Korea has influenced early folk sing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issues with regard to the aims of folk song education in the early 1920s and 1930s.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eople living in the Joseon era to folk songs through examining the writings of intellectuals in the early 20th century. Also, I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context that influenced colonial policies and national culture and the values that associated with folk songs that were considered as a form of provincial arts in the 1920s. In addition, I undertook a study focusing on the collection of folk songs and lyrics, revolving around the literature specialists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musical education in schools centered around Changga, Ewha College was the first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s of folk songs and started educating students about folk singing. However, the type of folk song edcation at this time caused controversy among the musicians of those days, in that it was sang in chorus and was accompanied by musical instruments, such as the piano, with a western style harmony. The controversy that took place at this time, regarding folk singing education can be viewed as a result of the clash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western culture. Also, westernized folk songs became the source of controversy and confusion with respect to educational values and goals because these types of folk songs were taught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e colonial period of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a debate about the values of folk songs among intellectuals. Folk songs were collected as a part of colonial policy and were studied by literature majors. However, ever since NHK started collecting and broadcasting popular folk songs of Japan in the 1930s, the perceptions that held way in Joseon became very different from perceptions in Japan – in Japan the values of folk songs were recognized as “music”. In other words, Joseon focused on collecting and studying the “lyrics” of folk songs rather than the “music” itself, and this proves that there was no genuine folk song cultur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carried out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values of folk songs, a form of song culture that captures the feelings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in the daily lives of people were neither discussed nor studied in this manner by the people who lived in Jos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only the literary values of folk songs were emphasized. This study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concept and value of “folksongs”, which focused on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in which folk song arose, and this study was carried in a brief and cursory manner without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r related musical expressions,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