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麗末鮮初 祿牌의 제도와 양식 (The System and Style of Nokpae (Salary Certificate) During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3.08
32P 미리보기
麗末鮮初 祿牌의 제도와 양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3권 / 69 ~ 100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호

    초록

    高麗와 朝鮮은 官僚制를 기반으로 운영된 국가로서 祿俸制를 시행해 왔다. 지금까지 녹봉제에 관해서는 여러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지만, 녹봉 지급을 위해 발급된 ‘祿牌’라는 문서 자체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녹패 연구의 범주에서 특별히 고려말과 조선초라는 변화의 시기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말선초에 녹봉 및 녹패 발급을 관장한 官司를 시기별로 규명하였다. 고려말에는 尙書省 右司에서 해당 업무를 맡았고, 1362년(공민왕11) 이후 三司에서, 1401년(태종1) 이후 司平府에서, 1405년(태종5) 이후 吏曹에서, 1466년(세조12) 이후 吏曹와 兵曹에서 해당 업무를 관장하였다.
    둘째, 여말선초 녹패의 문서 양식의 변천을 규명하였다. 여말선초에는 기본적으로 “王命准賜” 양식의 녹패가 존재하였는데, 공민왕의 反元정책이 시행되던 짧은 기간 동안 “宣命” 양식의 녹패가 일시적으로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왕명준사” 양식의 녹패는 1432년(세종14) 이후 “奉敎賜” 양식으로 변하였다. 이는 당시 조선의 공문서 양식이 元․明의 문서에 사용되었던 語法을 점차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이후 1466년(세조12)에 이조와 병조에서 업무를 분장하면서 문서 양식도 “某曹奉敎賜” 형태로 바뀌었고, 이 양식은 결과적으로 『經國大典』 祿牌式으로 귀결되었다.
    셋째, 당시 녹패에 사용된 印章과 署名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고려말의 녹패에 사용된 인장은 정확히 알 수 없다. 조선초에는 “宣賜之印”이 1432년(세종14)까지 사용되다가 “왕명준사”를 “봉교사”로 바꾸는 조치와 더불어 인장도 “頒賜之印”으로 바뀌었다. 이후 1466년(세조12)에 이조와 병조의 업무 분장에 맞춰 인장도 각각 “吏曹之印”과 “兵曹之印”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말선초의 녹패에 사용된 관원의 서명 방식을 필자는 着押으로 판단하였다.

    영어초록

    Goryeo and Joseon are dynasties based on bureaucracy, so they implemented stipend system. Studies on stipend system haven't so far paid remarkable attention to Nokpae that was issued for stipend. Within the research category of Nokpae, this study had particular interest in and paid attention to the transitional period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The key findings at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government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issuing stipend and Nokpae during the period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the task was controlled by SangseoseongUsa during late Goryeo, by Samsa after 1362, by Sapyeongbu after 1401, by Yijo after 1405, and by both Yijo and Byeongjo after 1466 .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transition of Nokpae style. It was assumed that Nokpae in 'Seonmeong' style was temporarily used during the king Gongmin periods.
    Nokpae in 'Wangmeongjunsa' style changed to that in 'Bonggyosa' style after 1432. In 1466 the control system was divided and shared by Yijo and Byeongjo and thus the document form was also changed to 'Mojobonggyosa' style.
    Third, this study reviewed the stamps and signatures used in Nokpae. It is not clear what stamp was used for Nokpae in late Goryeo. In early Joseon, 'Seonsajiin' had been used until 1432. And it was changed to 'Bansajiin' along with the change of 'Wangmyeongjunsa' to 'Bonggyosa'. It is assumed that both 'Yijojiin' and 'Byeongjojiin' were used in 1466 when Yijo and Byeongjo divided the task of Nokpae. The author thinks that Chakap (one of traditional signature forms) was used as the signature style of the government officers in charge of Nokpae during the period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